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호형호제
호형호제하는 사이이다 → 오붓한 사이이다 / 한지붕 같은 사이이다
호형호제하며 가깝게 지냈다 → 가깝게 지냈다 / 사근사근 지냈다
우리 호형호제하는 게 어떻겠어요 → 우리 이웃하면 어떻겠어요
호형호제(呼兄呼弟) : 서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친구로 지냄을 이르는 말 ≒ 왈형왈제
중국말 ‘호형호제’는 그저 ‘가깝다’를 나타냅니다. 그러니 우리말로 ‘가깝다·곁·곁으로·곁에 두다·옆마을’이라 하면 되고, ‘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꽁냥·다사롭다’나 ‘포근하다·푸근하다·산들바람·선들바람’이라 할 만합니다. ‘-랑·-과·-하고·만나다·믿다·살갑다’나 ‘반갑다·모나지 않다·부드럽다’로 나타낼 만합니다. ‘사귀다·사근사근·싹싹하다·자분자분’이나 ‘서로믿다·서로이웃·서로하나’라 해도 어울려요. ‘아끼다·어깨동무·두손들다·손들다·팔짱끼다’라든지 ‘어울리다·오붓하다·도란도란·두런두런·웃는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동무·동무하다·동무님·벗·벗하다·벗님’이나 ‘이웃·이웃하다·이웃님·이웃꽃·이웃사랑’이라 해도 되고요. ‘좋다·좋아하다·좋은사이’나 ‘한집·한집안·한집꽃·한집지기’나 ‘한집살이·한집살림·한지붕·한꽃집’ 같은 말씨도 쓸 만합니다. ㅍㄹㄴ
막걸리 하나로 호형호제할 수 있는 걸걸함도 탑재되어 있었다
→ 막걸리 하나로 사귈 수 있을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어울릴 수 있을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서로하나일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동무할 만큼 걸걸했다
《굶주린 마흔의 생존 독서》(변한다, 느린서재, 2023) 2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