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10.


《K-공대생 열다, 책방》

 김은철 글, 오리너구리, 2024.4.24.



아이들과 곁님도 여름이 꺾인 줄 뚜렷이 느낀다. 큰아이는 “이제는 햇볕을 그대로 쬐고 걸어도 안 더워요.” 하고 말한다. 집에 바람이(에어컨·선풍기)를 안 두면서 푸른바람을 맞아들이면 철갈이를 온몸으로 느끼고 온마음으로 읽는다. 예부터 누구나 ‘철사람(철을 읽고 아는 사람)’이었다. 들사람이든 숲사람이건 멧사람이건 바닷사람이건 저마다 철빛을 헤아리며 손수 살림을 짓고 사투리를 폈다. 이튿날부터 바깥일을 하러 가기 앞서 저잣마실을 간다. 큰아이가 따라간다. 등짐을 메고서 쉴 곳을 찾다가 기스락숲에 깃든다. 그야말로 거의 아무도 없고 안 오는 시골 읍내 작은숲에서 멧바람을 마시자니 뭇새와 뭇나비에다가 지네까지 우리한테 다가와서 소곤거린다. 《K-공대생 열다, 책방》을 읽는다. 조금씩 즐겁게 읽는다. 한달음에 다 읽기보다는 느긋이 헤아리고 싶다. 나는 인천 연수동이라는 잿마을(아파트단지)을 더 쳐다보기 싫어서 1994년부터 떠났다. 우리 아버지는 골목마을 작은집을 몹시 싫어하셨지만, 나로서는 모든 이웃과 동무가 골목마을에 살았다. 더 안 쳐다보려던 인천 연수동이지만, 〈열다책방〉이 이곳에 열었기에 올해 2025년에 서른한 해 만에 찾아가 보았다. 아무리 잿마을이어도 책집이 있으면 마을빛이 바뀌더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