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펭돌이의 신부 찾기 - 한국어린이교육문화연구원 으뜸책 ㅣ 지식 그림책 1
이루리 지음, 고마운 그림 / 이루리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6.28.
그림책시렁 1593
《펭돌이의 신부 찾기》
이루리 글
고마운 그림
이루리북스
2023.11.30.
새는 새이고, 쥐는 쥐이고, 여우는 여우이고, 고래는 고래입니다. 새를 알고 싶거나 쥐를 다루고 싶거나 여우를 말하고 싶거나 고래를 헤아리고 싶다면, 새·쥐·여우·고래를 이러한 숨결 그대로 담아낼 노릇입니다. 마치 사람처럼 꾸미거나 옷을 입히면 ‘새 이야기’가 아닌 ‘사람 이야기’입니다. 사람 같은 얼굴짓이나 말씨를 입힐 적에도 ‘쥐 이야기’가 아닌 ‘사람 이야기’예요. 《펭돌이의 신부 찾기》는 어느 펭귄이 짝을 맺는 살림길을 다루는 줄거리 같지만, ‘펭귄으로 꾸며낸 사람 이야기’일 뿐입니다. ‘잘 보이려’고 하면서 돈과 집을 장만하는 돌이에, ‘잘 보이려’고 얼굴과 머리카락과 몸매를 꾸미는 순이를 보여주는 얼개입니다. 이 그림책은 오히려 아이들한테 ‘돈(재산)·집(아파트)·쇠(자동차)’가 없다면 사내로서 짝을 못 찾는다고 외치는 셈입니다. 예쁘고 멋지고 꾸미지 않으면 가시내로서 짝을 못 만난다고 외치는 셈이기까지 합니다. 제발 “짝을 찾는 펭돌이”를 펭귄살림으로 그려내기를 바랍니다. “펭돌이가 찾는 짝”을 펭귄살이로 그려낼 때라야 비로소 우리가 사람으로서 이웃숨결한테서 배울 대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귀엽거나 익살스레 꾸미려고 하는 글과 그림으로는 허울만 늘릴 뿐입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