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4. 받는 기쁨을
오늘로 나흘째 영남초등학교 어린씨를 만나서 노래쓰기 이야기꽃을 폈다. 이제 하루를 더 펴면 마친다. 사흘 동안 여러 이야기꽃을 펴면서 이곳 시골아이들이 “받는 기쁨”을 누릴 틈(기회)을 베풀어야겠다고 느꼈다. 손글씨 노래를 모두한테 하나씩 써줄까 하다가, 이러기에는 밭고 조금 버거워서 책을 하나씩 주기로 한다. 스물네 아이한테 하나씩, 길잡이 여섯 분한테 하나씩, 모두 서른 자락을 등짐으로 나른다.
너희는 책을 받을 일이 드물 수 있지만, 이렇게 책을 거쳐서 손빛과 마음을 받을 수 있단다. 너희는 언제나 스스로 빛나는 숨결이야. 큰길과 큰꿈이 아닌, 작은씨앗을 작은손에 품고서 작은숲을 일구는 작은하루를 살아가기를 바라.
너희가 나중에 고흥을 떠나고 보면, 이 작은 시골학교로 누가 이야기꽃을 펴러 찾아오는 일이 얼마나 드물고 뜸한지 알 수 있어. 너희가 이야기씨앗을 누리도록 다리를 놓은 길잡이가 있은 줄 알아볼 날을 기다릴게. 이 작은학교 곁에 멧새가 얼마나 많이 깃드는지 아직 모를 수 있는데, 너희는 온슾과 온들과 온하늘이 베푸는 사랑을 푸르게 누리는 나날이란다.
하루하루 받고 누리고 맞이하는 사랑씨랑 살림씨를 속으로 품어 봐. 너희 모두 “머잖아 나비로 깨어날 고치를 튼 애벌레”일 테니, 기쁘게 배우고서 익히는 오늘길을 뚜벅뚜벅 같이 걷기를 바라. 바람을 바라보면서 파랗게 바라기에 이루는 길이야. 너도 나도 바람씨인걸. 느긋이 자고 넉넉히 먹고 신나게 놀고 실컷 말하고 천천히 읽으면서, 우리가 저마다 다르기에 나란히 서는 하늘빛인 줄 생각하자. 생각하기에 샘물처럼 빛나는 사람이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