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1. 찢어진 고무신



  바닥이 닳아서 물이 새지만 그냥 꿰었다. 아침에 고무신을 헹구는데 옆이 찢어졌다. 그래도 걸을 수 있다. 곧 사상나루에서 시외버스를 타면 딱히 걱정할 일이 없다. 올해 들어 꽤나 바지런히 걷고 두바퀴를 달렸지 싶다. 내가 꿰는 고무신은 으레 열한 달쯤 가는데, 올해에는 조금 일찍 갈아야 하네.


  짊어지고서 걷고 다시 걷고, 짐을 내리고서 숨돌리고 책을 읽고, 이러다가 글을 쓰고 생각에 잠긴다. 서울은 북적인다고 하지. 책잔치를 돈벌이로 삼아서 벼슬을 꿰차는 무리가 있어도, 이들을 감싸는 작은벼슬과 붓잡이(기자 + 작가)가 수두룩하다. 먼나라 책잔치에 찾아가는 숱한 붓잡이는 누가 댄 돈으로 날개를 타고다녔을까?


  불을 쥐려는 붓은 머잖아 재가 된다. 풀을 푸근히 품으려는 붓일 적에 비로소 포근한 품으로 빛난다. 불붓이 아닌 풀붓으로 하루를 그리는 이웃을 헤아려 본다. ‘서울국제도서전’을 손사래(보이콧)한다는 듬직한 붓은 아예 안 보이다시피 하는데, 우리 속모습이지 싶다. 몇날 반짝 책장사를 하면 목돈이 쏟아져들어오니, 판을 벌이는 무리도, 이 판에 나란히 어울리는 사람들도, 목돈벌이를 손사래치기 어려울 만하다.


  그래도 목돈벌이가 아닌 글쓰기와 글읽기를 그려 본다. 큰벌이나 작은벌이가 아닌, 느긋이 함께 일구면서 차분히 같이 가꾸면서 즐겁게 나란히 바꾸는 길을 돌아본다. 모든 숲은 처음에 작은 씨앗 한 톨이었으니까. 모든 숲은 온갖 나무가 어울리고 갖은 풀꽃이 물결치니까. 나는 오늘 새로 작은씨를 심어서 새숲을 이루자고 생각한다. 너도 함께 새삼스레 작은씨를 심으면서 파란별에 푸른숲을 생각해 보겠니?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