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72 : 연대solidarity의 한 방법 연대 -에 대한 공감 사회적 선 미덕 실현 행위
연대solidarity의 한 방법이었다. 연대는 아픔과 기쁨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 손을 잡고 사회적인 선과 미덕을 실현하는 행위이다
→ 손잡기이다. 함께 아프고 기뻐하며 다른 사람과 손을 잡고서 착하고 아름답게 사는 길이다
→ 같이하는 일이다. 같이 아프고 기쁘며 다른 사람과 손을 잡고서 착하고 아름답게 가는 길이다
《어떻게 살 것인가》(유시민, 아포리아, 2013) 186쪽
한자말이나 영어를 써도 안 나쁘되, ‘연대solidarity’처럼 쓸 까닭이 없고, 이렇게 쓴들 뜻이 또렷하거나 환하지 않습니다. ‘어깨동무’나 ‘손잡기’나 ‘같이하다·함께하다’라 하면 되어요. “-의 한 방법”은 일본스런 옮김말씨인데 군더더기라서 통째로 덜어냅니다. 함께 아프고 같이 기쁠 줄 아는 마음이라면 이웃하고 손을 잡을 줄 알아요.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가는 길이기에 스스로 즐겁고 서로 반갑습니다. ㅍㄹㄴ
연대(連帶) : 1. 여럿이 함께 무슨 일을 하거나 함께 책임을 짐 2. 한 덩어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
solidarity : 연대, 결속
방법(方法) : 어떤 일을 해 나가거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이나 방식
공감(共感) : 남의 감정, 의견, 주장 따위에 대하여 자기도 그렇다고 느낌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사회적(社會的) : 사회에 관계되거나 사회성을 지닌
선(善) : 1.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음. 또는 그런 것 2. [철학] 도덕적 생활의 최고 이상
미덕(美德) : 아름답고 갸륵한 덕행 ≒ 휴덕
실현(實現) : 꿈, 기대 따위를 실제로 이룸. ‘실제 이루어짐’으로 순화
행위(行爲) : 1.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하는 짓 2. [법률] 법률상의 효과 발생의 원인이 되는 의사(意思) 활동 3. [심리] 환경에서 유발되는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유기체의 행동 4. [철학] 분명한 목적이나 동기를 가지고 생각과 선택, 결심을 거쳐 의식적으로 행하는 인간의 의지적인 언행. 윤리적인 판단의 대상이 된다 ≒ 행동(行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