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47. 넘나들기



  넘나들 수 있는 사이일 적에 ‘너나들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서로 ‘너’하고 ‘나’가 다르되, 사람이라는 숨빛으로는 하나이면서 나란합니다. 서로 다른 줄 기꺼이 받아들이면서, 누구나 ‘사람’이라는 넋으로는 아름답게 ‘사랑’인 줄 반갑게 맞아들이는 마음이기에 너나들이라고 합니다. 너나들이로 마주할 적에는 언제 어디에서나 스스럼없이 넘나들면서 날갯짓을 하고 활갯짓으로 어울려요. 너나들이가 아닐 적에는 으레 남남입니다. 가르고 쪼개고 할퀴고 깎고 팽개치고 따돌리고 시샘하고 핀잔하고 타박하고 손가락질을 합니다. 넘나드는 사이로 넘어서지 않으니 그만 담을 쌓아요. 나란히 넘나들 줄 알기에 마음에 사랑을 담고 꿈을 담으며 씨앗을 담습니다. 홀가분히 넘나드는 나날이기에 삶을 가꾸는 길에 손을 맞잡아요. 가붓이 넘나드는 하루이기에 살림을 짓는 눈빛으로 어깨동무를 합니다. 가로막으려는 담은 사나울 뿐 아니라 스스로 죽어가는 굴레입니다. 차분히 차곡차곡 담아서 이루는 그릇이란, 숲을 이루는 나무처럼 든든히 그루를 이뤄요. 우리는 어느 곳에 있는가요? 우리는 어떤 발걸음인가요? 들숲메를 넘나들면서 바람과 바다가 한몸을 이루는 빛줄기를 알아볼 수 있기를 바라요. 새벽마다 새날을 그리고, 밤마다 밝게 별바라기를 할 수 있기를 바라요. 살가이 마주하는 살뜰한 숨결이 너머로 갑니다. 알뜰히 맞이하는 아름다운 숨소리가 넌지시 드나듭니다. 두런두런 잇는 말은 이야기를 이루면서 찰랑찰랑 물결로 일어납니다.



넘나들기


바다는 소금을 머금고서

온누리를 고루 돌아본다

바람은 물씨를 앉히고서

뭇누리를 두루 드나든다


들숲메를 흐를 적에는 가볍게

갯벌에 이를 즈음에는 묵직히

민물과 짠물이 넘나드는 사이

온숨결이 서로 자라고 깨어나


나는 새날을 그리고서

아침마다 길을 나선다

너는 새마음을 담고서

밤마다 꿈길 접어든다


마을까지 어울릴 적에는 살뜰히

이웃으로 마주하는 곳은 알뜰히

생각과 수다가 넘나드는 동안

온사랑이 차츰 퍼지고 일어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