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45. 비



  밤에 드러누워서 꿈을 맞이해도 갖은 그림이 떠오릅니다. 고흥에서 순천을 거쳐 수원으로 기차를 타고 가는 길에 살짝 눈을 감아 보는데 새록새록 온갖 그림이 떠올라요. 지난날 제가 ‘종(노예)’으로 살며 어느 공주님 눈썹을 그려 주는 일을 하는 그림, 고기잡이가 되어 바다에서 그물로 고기를 낚아 맨손으로 척척 손질해서 날로 먹는 그림, 아주 능구렁이 훔침질을 하는 거짓말쟁이로 살다가 붙들려 오른팔이 뎅겅 잘렸는데 이렇게 오른팔이 잘리고 왼팔마저 뎅겅 잘려도 훔침질을 더 신나게 하면서 노닥거리는 그림, 이밖에 여태 살아온 갖가지 옛모습이 뭉게뭉게 나타납니다. 아주 짧게 눈을 감았다가 떴어요. 때바늘이 10눈금이나 5눈금 흐를 만큼밖에 안 됩니다. 그러나 이동안 본 옛삶을 말로 옮기자니 몇 날로도 모자랄 뿐 아니라, 몇 해로도 모자라겠더군요. 아주 긴 나날을 한때에 불쑥 보았어요. 이러고서 하루가 지난 오늘, 서울 광화문 앞길을 걷다가 갑자기 자리에 앉고프다는 생각이 들어 두리번두리번하는데 국립극장이 보여 안으로 성큼 들어서서 이곳 지킴이한테 “살짝 앉았다 가도 될까요?” 하고 여쭙니다. 이동안 노래꽃 한 자락이 술술 흘러나옵니다. 이 노래꽃 ‘비’는 제가 예전 어느 때에 빗방울로 살면서 스스로 겪은 이야기라고 느낍니다. 오롯이 나였으나 이제는 오롯이 사람이라는 옷을 입은 내가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어떻게 맞이하면 즐거운가 하는 이야기를, 바로 ‘나였으나 내가 아닌 내’가 ‘나이면서 내가 아닌 나’한테 들려준 이야기입니다.




아직 궁금하지 않아서

조용히 나무 품에

잎사귀 품에 꽃송이 품에

줄기 품에 뿌리 품에


문득 이 바깥이 궁금해

햇볕을 타고서 조용조용

아지랑이 되어 나오더니

바람 타고 하늘로 올라


나처럼 궁금쟁이인 동무

여기도 있고 저기도 있어

참 많구나 가득하구나

우리는 궁금덩이 구름 되네


이윽고 뭉실뭉실 춤추다가

저마다 수수께끼 풀려고

여기로 저기로 새록새록

날아가며 마실하는 빗방울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