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8.
《동화를 어떻게 쓸 것인가》
이오덕 글, 삼인, 2011.9.16.
부산 마을책집 〈책과 아이들〉에서 깃새글꽃(상주작가)으로 함께 이야기밭을 일구기로 한 2025년이다. 짧게 일곱 달을 깃들며 글꽃을 여미는 동안 ‘낛(국민연금·건강보험)’을 나라에서 대준단다. 누가 낛을 대주기로는 2009∼10년에 한글학회 일을 도울 무렵 뒤로 처음이다. 이러구러 새벽에 옆마을로 달려가서 첫 시골버스를 탄다. 순천을 거쳐서 부산에 닿는다. 사직동 〈읽는 마음〉부터 들른다. 어제 갓 열었다는 책집이 이제부터 빛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부산교대 너른터를 가로질러 걷는다. 멀쩡한 느티나무 줄기를 뭉텅뭉텅 치기도 했지만, 고스란히 두기도 했다. 나무가 하늘을 바라보며 가지를 뻗는 곳이어야 배움터라고 본다. 나무를 괴롭히는 손끝이 있다면 배움터일 수 없다. 오랜만에 《동화를 어떻게 쓸 것인가》를 돌아본다. 어린글꽃(어린이문학)을 쓰는 길잡이책이 여럿 나오기는 하는데, 어쩐지 ‘잘 팔려서 살아남는 굴레’에 치우치기 일쑤이다. ‘아이곁’에 서면서 ‘어른곁’에도 서는 마음을 짚는 길잡이책이 요새는 안 나온다. 모든 사람은 아이로 태어나서 어른으로 살림한다. 어린글꽃뿐 아니라 여느글꽃(일반문학)도 ‘아이곁 + 어른곁’이라는 눈빛과 매무새로 다가설 노릇이다. 그리고 숲곁과 마을곁에 서야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