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화化] 언어화
생각을 언어화하다 → 생각을 말로 나타내다 / 생각을 말하다 / 생각을 밝히다
사고의 언어화 과정 → 생각을 말로 담는 흐름 / 생각을 말로 나타내는 길
기억을 언어화하다 → 기억을 글로 쓰다 / 기억을 말로 드러내다
언어화되지 못한 아이디어 → 말로 풀어내지 못한 생각 / 말로 못 담은 생각
언어화 : x
언어(言語) :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낱말책에는 ‘언어화’라는 한자말을 안 싣지만, ‘언어화’뿐 아니라 ‘언어화되다’ 같은 말씨를 어렵잖이 볼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짚자면 ‘말·말글·말씀·말하다’나 ‘말꼴·말붙이·말결·말가락·말빛’이나 ‘말꽃·말씨·말품새·말발·말곁’이나 ‘말숲·말나무·말줄기·말틀’로 다듬을 만합니다. ‘글·글월·글가락·글결’이나 ‘글숲·글씨·글꽃·글빛’이나 ‘글줄기·글틀·글발·글소리’로 다듬어도 됩니다. ‘얘기·이야기·알리다·알려주다’로 다듬고, ‘입·입정·부리·아가리·주둥이’로 다듬어요. ‘속삭이다·수군거리다·숙덕거리다’나 ‘그리다·나타내다·드러내다·담다·밝히다’나 ‘알리다·적다·쓰다’로 다듬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교과서에 실린 언어화된 정보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능력만 있다면
→ 배움책에 적힌 얘기를 똑똑히 살리는 재주만 있다면
→ 배움책에 실린 이야기를 환하게 떠올릴 수만 있다면
→ 길잡이책에 담은 얘기를 낱낱이 외울 수만 있다면
→ 길잡이를 달달 외울 수 있다면
→ 길풀이만 잘 외우면
《도약의 순간》(사이토 다카시/이규원 옮김, 가문비, 2006) 12쪽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데 자기 환경에 대해 언어화가 되겠어요?
→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데 제 터전을 글로 쓸 수 있겠어요?
→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데 제 삶터를 밝힐 수 있겠어요?
→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데 제 삶자리를 적을 수 있겠어요?
→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데 제 살림터를 알릴 수 있겠어요?
《언니, 같이 가자!》(안미선, 삼인, 2016) 221쪽
이제는 익숙한 구호에 따라 내면의 파도를 언어화하며 살아가려는 사람으로서
→ 이제는 익숙한 말소리로 물결치는 마음을 그리며 살아가려는 사람으로서
→ 이제는 익숙한 소리로 너울대는 마음빛을 밝히며 살아가려는 사람으로서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이계은, 빨간소금, 2024) 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