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명성으로 2025.4.28.달.



이름이 없는 사람은 없어. 저마다 이름이 있고, 다 다른 이름에는 모든 사람이 새롭게 살아온 이야기가 흘러. 얼핏 이 사람과 저 사람이 “같은 이름”이라고 느낄 수 있지만, 둘이나 여럿이 이름이 같아 보여도, 걸은 길과 삶은 다르단다. ‘이름’이란, 이제까지 이른 길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면서, 이제부터 이르려는 길을 밝히는 뜻이야. 이름을 보면서 어제·오늘·모레를 읽어. 이름을 짓고 나누면서 이제껏 일군 보람을 살펴. 서로 이름을 헤아리면서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는지 느끼고 돌아봐. 그런데 ‘이름’이 아닌 ‘이름값(명성)’을 따지는 사람이 많구나. 이름이 없는 사람이 없듯, 값이 없는 이름도 없어. 누구나 이름과 값이 다르게 있되, 높거나 낮다고 가를 수 없는데, 자꾸만 이름값(명성)으로 휘두르거나 휘말리면서 이야기를 잊는구나. 이름값을 따라가려는 사람은 가엾어. 이름값을 높이려는 사람은 불쌍해. 이름값에 매이는 사람은 스스로 갉거나 깎는구나. 이름값을 얻어서 누리거나 부리는 사람한테는 이야기가 사라지고 빛이 바래면서 숨결과 숨소리가 죽어간단다. 너는 무엇을 보니? 너는 어디로 가니? 네 이름은 무엇이니? 이름을 구슬로 느끼고 돌보렴. 네 이름을 구슬처럼 굴리면서 스스로 노래하렴. 서로 이름을 맑고 밝게 부르면서 생각을 나누고 이야기를 하렴. 이름값을 내세울수록 가난하단다. 이름값을 차리려 할수록 껍데기가 단단하게 늘어나고 말아.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