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26.
《내 몸과 지구를 지키는 화장품 사용 설명서》
배나린·배성호 글, 철수와영희, 2025.4.5.
후박꽃이 바람에 수북수북 떨어진다. 떨어진 꽃을 고이 주워서 맛본다. 달곰한 한봄꽃이다. 예부터 아이어른 누구나 후박꽃을 알뜰히 주워서 봄밥으로 누렸으리라 본다. 오늘날 우리는 나무꽃이건 풀꽃이건 모두 나물인 줄 잊는다. 먹어서 안 될 꽃송이란 없다. 다 다른 곳에 다 다른 길로 쓰는 나물인걸. 귀염꽃이라면 몸살림에는 이바지하지 않되, 숲들메에서 스스로 돋아서 푸르게 한들거리는 모든 풀꽃은 누구나 북돋우는 밥살림이다. 《내 몸과 지구를 지키는 화장품 사용 설명서》를 읽었다. 꽃물(화장품)을 쓰는 사람도 많지만, 안 쓰는 사람도 많다. 꽃물을 쓰는 탓에 살결이 망가지는 사람도 많고, 그럭저럭 멀쩡한 사람도 많다. 들일이나 바닷일을 한다면 꽃물을 바를 겨를도 없지만, 발라서는 안 된다. 아기한테 젖을 물리거나 아이를 돌볼 적에도 꽃물은 안 발라야 한다. 이제 우리도 조금은 바꾸지만, 일본에서 나오는 ‘샤본다마’라는 비누는 ‘합성계면활성제·형광증백제·방부제·화학향료·합성색소’를 하나도 안 넣는다. 우리나라 꽃물이며 비누에는 ‘화학·합성’을 얼마나 넣을까? 꽃물을 안 쓰더라도 어떤 비누로 씻고 빨래하고 설거지하느냐에 따라서도 살갗이 망가질 수 있다. 이뿐인가? 꽃물과 비누를 쓸 적마다 구정물이 땅과 바다로 스미니, 어떤 꽃물과 비누를 쓰느냐에 따라 우리 스스로 들숲바다를 망가뜨리거나 살리는 갈림길에 선다. 집과 배움터와 일터에서는 어떤 비누를 놓을까? 나는 바깥일을 보려면 으레 먼길을 나서면서 길손집에 깃드는데, 손비누와 빨래비누를 따로 챙긴다. 잇물(치약)에도 갖은 ‘화학·합성’을 넣기에, 우리가 아무 잇물이나 쓰면 들숲바다를 날마다 더럽히는 셈이다. 배움터와 돌봄터(병원)는 “이를 잘 닦자”만 얘기하지만, 어떤 잇물을 써야 하는지 아예 안 살피기 일쑤이다.
언뜻 본다면 고작 비누 하나요 잇물 하나에 꽃물 한 가지일는지 모르나, 지난날에는 누구나 손수 지어서 쓰던 살림이다. 지난날에는 땅과 바다를 정갈히 돌보는 길로 살림을 지었다. 오늘날에는 더 값싸게 많이 팔아치우려고 ‘알림(광고)’을 퍼붓고 사람들을 길들이려 한다. 손수짓기가 가장 나은 길이되, 손수짓기가 버겁다면 ‘꼼꼼찾기’는 해야 마땅하다. 사람만 살아가는 푸른별이 아니고, 나만 살면 되는 터전이 아니니까. 땅과 바다가 망가지면 바로 나(사람)도 나란히 죽는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