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4.11.
숨은책 1037
《햇빛다솜책 20 말괄량이 여고생 비밀일기》
조재현 글
햇빛출판사
1989.10.5.
1989년을 살던 사람 가운데 몇쯤 2019년을 그려 보았을까요? 너무 까마득하다고 여겼을 만하고, 서른 해 뒤가 찾아오기를 기다리다가 죽을 수 있으니, 그저 오늘 이곳을 어떻게든 버티고 견디자고 여긴 사람이 아주 많았으리라 봅니다. 2025년을 사는 사람 가운데 얼마쯤 2055년을 그려 볼 만할까요? 서른 해 뒤에 바뀌거나 거듭날 이 터전을 헤아린다면, 오늘 우리가 마주하는 굴레나 가시밭은 우리 스스로 갈닦는 밑거름으로 삼을 만합니다. 다만, 밑거름으로 삼더라도 꽤 괴로울 수 있는데, 괴롭기네 가시밭이요 고달프기에 굴레입니다. 고단하니 서로 손을 잡고, 힘겨우니 함께 도우면서 걷습니다. 《햇빛다솜책 20 말괄량이 여고생 비밀일기》는 전두환이 흔들거릴 즈음부터 쏟아진 ‘명랑 청소년소설’ 가운데 하나입니다. 1970해무렵에도 이런 글은 제법 나왔지만, 1980해무렵에 이런 글이 쏟아졌어요. 1990해무렵으로 접어드니 확 수그러들면서 2000해무렵에는 아주 사라지다시피 하는데, 2020해무렵 푸른글꽃(청소년문학)을 살피니 어쩐지 ‘전두환 무렵 명랑 청소년소설’로 돌아간 듯해서 조금 소름이 돋습니다. 우리는 지난날 우두머리가 일삼은 짓을 곰곰이 새기면서 아름누리로 나아갈 노릇이면서, 어떤 글과 책으로 오늘을 가꿀 노릇인지 늘 돌아볼 일이라고 봅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