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우주 宇宙
우주 만물 → 온숨 / 온빛 / 뭇숨결 / 뭇빛
우주에 가득 차다 → 두루 가득 차다 / 모드 가득 차다 / 온누리에 가득 차다
대의를 우주에 밝혀서 → 큰뜻을 널리 밝혀서
광활한 우주 → 드넓은 별 / 가없는 곳 / 너른누리
우주를 왕복하다 → 별누리를 오가다
우주에 관하여 연구하다 → 바깥누리를 살피다 / 별터를 헤아리다
‘우주(宇宙)’는 “1.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 2. [물리] 물질과 복사가 존재하는 모든 공간 3. [천문] 모든 천체(天體)를 포함하는 공간 4. [철학] 만물을 포용하고 있는 공간. 수학적 비례에 의하여 질서가 지워져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강조할 때에 사용되는 피타고라스학파의 용어이다”으로 풀이합니다. ‘온·온것·온곳’이나 ‘온누리·온누리판·온땅’이나 ‘온숨·온목숨·온숨결’로 담아낼 만합니다. ‘모두·뭇목숨·뭇숨결·뭇넋·뭇빛’이나 ‘온빛·온터·온판’으로 담아내고요. ‘별·별나라·별누리·별터·별판·이웃별’로 담아낼 수 있고, ‘고루·골고루·고루눈·고루길·고루빛·고루보다’나 ‘곳·곳곳·터·터전’으로 담아내지요. ‘너머·너머꽃·너머길·너머빛·너머누리·너머나라’나 ‘누리·뉘·널리·둘레·다른곳’으로 담아도 어울립니다. ‘두루·두루눈·두루보다·두루길·두루빛·두루넋·두루얼’이나 ‘먼곳·먼데·멀다·멀디멀다·머나멀다’로 담아낼 만하고, ‘바깥·밖·바깥누리·밖누리’나 ‘빗장열기·빗장풀기·빗장트기’로 담아냅니다. ‘열다·트다·환하다·활짝·훤하다’나 ‘저·저기·저곳·저쪽·저켠·저자리’로 담아내어요. ‘즈믄·즈믄길·즈믄꽃·즈믄빛’로 담아내고, ‘하나되다·한몸마음·한마음몸’이나 ‘하늘·하늘꽃·하늘별·하늘빛’으로 담아냅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우주’를 셋 더 싣습니다만, 다 털어냅니다. ㅍㄹㄴ
우주(牛酒) : 쇠고기와 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주(隅柱) : [건설] 건물의 모퉁이에 세운 기둥 = 귀기둥
우주(虞主) : [역사] 궁중에서 우제(虞祭)를 지낼 때에 쓰던 뽕나무로 만든 신주
저 광활한 우주속으로
→ 저 가없는 너머로
→ 저 너른 누리로
→ 저 까마득한 곳으로
→ 저 드넓은 밖으로
《그대에게 가는 길》(박정만, 실천문학사, 1988) 12쪽
생생한 生! 우주가 저렇게 뭉클하다
→ 생생한 삶! 둘레가 저렇게 뭉클하다
《마음의 수수밭》(천양희, 창작과비평사, 1994) 15쪽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어떤 것도 이 우주에서 사라지는 것이 없다
→ 모두 끊임없이 바뀌지만 무엇도 온누리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헬렌 니어링/이석태 옮김, 보리, 1997) 239쪽
우주의 한 중심이었음을 뒤늦게 깨달아라
→ 온누리 한복판인 줄 뒤늦게 깨달아라
《끊어진 현》(박일환, 삶이보이는창, 2008) 5쪽
우주라는 가정 하에 하는 훈련이니까요
→ 온누리라고 생각하며 갈고닦으니까요
→ 바깥누리로 여기며 다스리니까요
→ 바깥으로 보며 담금질을 하니까요
《트윈 스피카 6》(야기누마 고/김동욱 옮김, 세미콜론, 2014) 185쪽
우주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 온누리를 이야기하면서
→ 별누리 이야기를 하면서
《트윈 스피카 8》(야기누마 고/김동욱 옮김, 세미콜론, 2014) 410쪽
왜 저렇게 링(우주 건물)이 아름다운지 아세요?
→ 왜 저렇게 고리(누리집)가 아름다운지 아세요?
《토성 맨션 7》(이와오카 히사에/송치민 옮김, 세미콜론, 2015) 238쪽
그는 어쩌면 우주 밖 어느 행성에서 파견된 스파이일지도 모른다
→ 그는 어쩌면 바깥 어느 별에서 온 몰래꾼일지도 모른다
→ 그는 어쩌면 다른 어느 별에서 온 엿듣개일지도 모른다
《백수 선생 상경기》(백성, 문학의전당, 2015) 50쪽
물질적으로 볼 때 내 몸은 우주의 구성성분과 같다
→ 바탕으로 볼 때 내 몸은 온누리 밑감과 같다
→ 숨결로 볼 때 내 몸은 온누리 속빛과 같다
《파이어스톤 도서관에서 길을 잃다》(류대영, 생각비행, 2016) 66쪽
우리의 모호한 질문에 대해서 우주의 모든 삼라만상을 이루는 기본 요소가 바로 수라는 답을 준 것이다
→ 우리가 설핏 물어볼 때 온누리 뭇숨결을 이루는 틀거리가 바로 셈이라고 알려주었다
→ 우리가 얼핏 물을 때 온누리 뭇목숨을 이루는 그루터기가 바로 셈값이라고 알려주었다
《수학의 수학》(김민형·김태경, 은행나무, 2016) 15쪽
작지만 완전한 우주지
→ 작지만 오롯이 누리지
→ 작지만 옹근 온누리지
《삶은 달걀》(이루리·나명남, 북극곰, 2017) 23쪽
천 년의 우주수를 보는 순간
→ 즈믄살이 누리나무를 보자
→ 즈믄해 살아온 나무를 보니
《가여운 나를 위로하다》(박두규, 모악, 2018) 64쪽
우주 공간도 이 해역도, 산 인간의 생 따위는 허무하게 비칠 뿐이다
→ 별 바깥도 이 바다도, 산 사람 삶 따위는 허울로 비칠 뿐이다
→ 별 너머도 이 바다도, 산 사람 하루 따위는 초라히 비칠 뿐이다
《사이보그 009 완결편 3》(이시노모리 쇼타로·오노데라 조·하야세 마사토/강동욱 옮김, 미우, 2018) 87쪽
내가 우주의 중심이 되길 원치 않는다는 말은 고양이를 곁에 두는 것이 싫다는 말이 아니다
→ 내가 온누리 한복판이 되길 안 바란다고 해서 고양이를 곁에 두면 싫다는 뜻이 아니다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어슐러 K.르 귄/진서희 옮김, 황금가지, 2019) 55쪽
사악한 자들은 이 우주를 지옥으로 보고
→ 나쁜 놈들은 온누리를 불수렁으로 보고
→ 못된 이들은 이 누리를 불밭으로 보고
《마음의 요가》(스와미 비베카난다/김성환 옮김, 판미동, 2020) 280쪽
모음에는 우주의 큰 뜻을 담았어
→ 홀소리에는 온빛을 담았어
→ 홀소리에는 온누리를 담았어
《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김슬옹, 한솔수북, 2022) 26쪽
한데 우리가 없어도 지구가 있고 우주도 있지만 시(詩)는 없다
→ 그런데 우리가 없어도 푸른별 있고 온누리 있지만 노래는 없다
《은엉겅퀴》(라이너 쿤체/전영애·박세인 옮김, 봄날의책, 2022) 165쪽
광대한 우주의 흐름 안에서 흐르고 있을 뿐임을 온몸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 너른누리에서 흐를 뿐이라고 온몸으로 나타내고 싶었다
→ 너른빛으로 흐를 뿐인 줄 온몸으로 그리고 싶었다
《나무 마음 나무》(홍시야, 열매하나, 2023) 46쪽
우주처럼 깊은 과거의 역사가 존재한다
→ 온누리처럼 깊고 오래되었다
→ 별누리처럼 깊으며 오래 흘렀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차》(박지혜, 스토리닷, 2023) 37쪽
우주를 선구적으로 개척하는 꿈을 이루기는 쉽지 않거든요
→ 누리를 먼저 뚫고나가는 꿈을 이루기는 쉽지 않거든요
→ 너머를 일찌감치 뚫는 꿈을 이루기는 쉽지 않거든요
《미래 세대를 위한 우주 시대 이야기》(손석춘, 철수와영희, 2024) 7쪽
그의 철학에 고갱이가 될 영원회귀의 우주론을 착상했다
→ 그이 넋에 고갱이가 될 한꽃길을 떠올렸다
→ 그이 생각에 고갱이가 될 늘빛길을 찾았다
→ 그이 눈꽃에 고갱이가 될 온길을 그렸다
《니체 읽기의 혁명》(손석춘, 철수와영희, 2024) 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