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교사의


 교사의 임무라면 → 길잡이 일이라면

 교사의 숙명이다 → 스승이라는 삶이다

 교사의 하루는 → 배움꽃 하루는 / 길잡이 하루는 / 가르치는 하루는


  ‘교사(敎師)’는 “1. 주로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따위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고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 2. [불교] 태고종에서, 교리를 연구하는 승려의 법계(法階) 가운데 하나”를 뜻한다고 합니다. ‘교사 + -의’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가르치다’나 ‘길불·길불빛·길빛’이나 ‘길잡이·길라잡이·길앞잡이·길잡님’이나 ‘길님·길잡이불·길잡이빛·길눈’으로 손봅니다. ‘끌다·끌고 가다·끌어가다’나 ‘이끌다·이끎이·이끎님·이끎빛·이끎지기’로 손보고, ‘배움꽃·배움빛·배움어른·익힘꽃·익힘빛·익힘어른’으로 손볼 만해요. ‘샘·샘님·샘물님’이나 ‘스승·스승님’으로 손보고, ‘우등불·장작불·큰불·화톳불·횃불·횃불잡이’로 손보면 되어요. ‘키·키잡이·알려주다’나 ‘열린길잡이·열린길잡님·열린길불·열린길빛·열린길님’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또 어떤 친구는 특수교사의 꿈을 꾸고, 어떤 친구는 가게의 점원으로 일을 하며 성실히 자신의 장래를 설계한다

→ 또 어떤 아이는 별빛지기 꿈을 꾸고, 어떤 아이는 가게일꾼으로 일을 하며 꾸준히 제 앞길을 그린다

→ 또 어떤 아이는 별지기 꿈을 꾸고, 어떤 아이는 가게에서 일을 하며 바지런히 제 앞날을 그린다

《어떤 동네》(유동훈, 낮은산, 2010) 24쪽


아이들이 중요하다고들 하면서 사실은 교사의 생각을 아이들에게 대변시키고 있는 것은 아닐까

→ 아이들을 높인다고들 하면서 정작 길잡이 생각을 아이들한테 드러내지는 않는가

→ 아이들을 섬긴다고들 하면서 막상 길잡이 생각을 아이들더러 말하라고 시키지는 않는가

《돼지가 있는 교실》(쿠로다 야스후미/김경인 옮김, 달팽이, 2011) 173쪽


아침 햇살 속에서 들썩거리는 학생들과는 대조적으로 인솔 교사의 얼굴은

→ 아침햇살에 들썩거리는 아이들과는 달리 길잡이 얼굴은

《위안부 문제를 아이들에게 어떻게 가르칠까?》(히라이 미쓰코/윤수정 옮김, 생각비행, 2020) 7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