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28.
《인물로 살펴보는 인권 이야기》
박홍규 글, 철수와영희, 2025.2.28.
어린배움터를 다니던 1982∼87년에 둘레 어른이나 또래한테서 ‘말(우리말)’을 듣고서 배울 수 있었다. 푸른배움터로 접어드니 ‘말’이 사라지고 ‘국어·언어 영역 시험문제’만 판쳤다. 오늘날에는 어린이와 푸름이 모두 ‘말’을 배우는 길은 까마득하다. 집·마을·배움터 어디에서나 ‘국어·언어 영역 시험문제’만 도사린다. 어른이 읽는 ‘우리말 책’도 하나같이 ‘말’이 아니라 ‘맞춤길·띄어쓰기 외우기 틀’에 갇힌다. 우리는 언제쯤 서로 말을 나누면서 마음을 살피는 길을 열 까? 책숲종이인 〈숲노래 책숲 1018〉을 큰아이하고 글자루에 담는다. 읍내 나래터로 가서 부친다. 《인물로 살펴보는 인권 이야기》를 읽었다. ‘인권’이란, 우리말로 ‘사람빛’을 가리킨다. 사람으로 서는 빛이요, 사람으로 사는 빛이며, 사람으로 스스로 밝히며 나누는 빛이다. ‘사람꽃·사람길’이라 할 수 있고, 수수하게 ‘빛·길’이라 할 만하다. 한자말인 ‘인권’을 쓰기에 나쁘지 않되, ‘인간·인권·인적’ 같은 일본스런 말씨에 머물면 정작 ‘사람’을 잊는 듯하다. 나도 사람이고 너도 사람이다. 우리는 다 다른 사람이다. 사람으로서 마주하고, 사람으로서 서로 헤아리고, 사람으로서 새롭게 어울리며 이 별을 사랑할 길을 열어야지 싶다.
ㅍㄹㄴ
https://www.youtube.com/watch?v=qPuBqJ1YN6c (5분)
https://www.youtube.com/watch?v=KB41vwPVnbg (1시간 34분)
미국 트럼프와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사이에 무슨 말이 어떻게 오갔는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가, ‘앞뒤를 안 자르고서 통으로 보여주는 그림’을 하나 보았다. 잊지 않으려고 남겨놓는다.
젤렌스키는 언제쯤 ‘계엄령’을 풀까? 아마 계엄령을 앞으로도 안 풀면서 내내 우두머리(대통령)라는 자리를 지키려 하지 않을까?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