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3.25. 땀바구니



  서울에서 살며 책마을 일꾼으로 지내던 때에는 전철도 잘 안 탔다. 길삯까지 털어서 필름과 책을 사면서 걸었다. 걷고 새로 걸은 지 쉰 해에 이른다. 나는 두온해(200년) 즈음은 그저 등짐으로 걸으려고 생각한다. 읽는 사람이자 쓰는 사람이기에 걷고 걷고 걸으며 걷는다.


  걷지 않고서 읽거나 쓸 수 있을까? 안 걷는다면 안 읽거나 안 쓴다는 뜻이지 않을까? 기저귀를 손으로 애벌빨래로 하고서 삶기에, 아이들이 자라는 결을 느끼고 읽고 배운다. 옷가지와 이불을 손발로 애벌빨래를 하고서 두벌빨래와 석벌빨래를 다시 손발로 하기에, 우리집 살림결을 헤아리고 살피고 배운다.


  집안일과 살림을 안 하면서 읽거나 쓸 수 있지는 않다고 본다. 이오덕 어른이 가르친 예전 멧골마을 아이들은 다 걷는 아이였다. 집안일과 살림을 짓던 아이였다. “이오덕 글쓰기 배움길” 수수께끼란, 걷기와 짓기와 살림과 들숲메바다라고 본다. “일하는 아이들”이란 온몸과 온마음으로 집살림·옷살림·밥살림을 일구는 아이들이라는 뜻이요, 하나부터 열까지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동안 “무엇을 쓸는지 스스로 알아보고 나눌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즐겁게 쓰고 싶다면 걸으면 된다. 기쁘고 반갑게 읽고 싶다면 걸으면 된다. 이른바 누리길(sns)조차 걸어다니는 매무새일 적에 즐겁게 할 수 있다. 손잡이를 쥐고서 부릉부릉 몰기만 할 적에는 다른 일조차 아예 못 한다.


  걸으면 늘 새로 깨어난다. 걷기에 젊지 않다. 걸으니까 늘 새몸이다. 땀으로 씻고서 이슬로 추스르는 길이 걷기이다. 젊은몸을 바라며 걷는 분이라면 오히려 몸이 낡고 닳아서 일찍 늙는다고 느낀다. 일하고 살림하는 몸짓으로 해바람비를 머금으며 걸으면, 늘 눈부시게 튼튼하다고 느낀다.


  책집지기는 일하는 사람이다. 살림지기는 일하는 사랑이다. 손수 가다듬고 추스르고 매만지는 일꾼한테서 손빛을 배운다. 글은 조금 덜 읽더라도 손으로 집안일을 한다. 글은 조금 덜 쓰더라도 두다리로 걸어다니면서 등짐을 나른다. 땀바구니를 주렁주렁 품고서 걷는다. 땀으로 전 옷과 가방을 손으로 빨아서 햇볕에 말린다. 잘 마른 바구니와 가방을 다시 걸치고서 새롭게 마실을 나선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