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영원회귀



 영원회귀의 정신 → 한꽃같은 숨결 / 한꽃마음

 영원회귀의 사상 → 오달진 넋 / 오롯한 생각

 지금의 삶을 영원회귀의 마음으로 산다면 → 오늘을 가없는 마음으로 산다면


영원회귀(永遠回歸) : [철학] 니체가 그의 저서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내세운 근본 사상. 영원한 시간은 원형(圓形)을 이루고, 그 원형 안에서 우주와 인생은 영원히 되풀이된다는 사상이다 = 영겁회귀



  독일말 “ewig wiederkehren”이나 “Ewige Wiederkunft des Gleichen”을 일본사람은 ‘영원회귀’라는 한자말씨로 옮깁니다. 우리는 어떻게 옮기면 어울릴까요? 언제까지나 없어지지 않는다면 ‘늘·두고두고·언제나·언제까지나’나 ‘고스란히·그대로·길이·길이길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끝까지 가다·사라지지 않다·죽지 않다·죽도록”으로 나타낼 만하지요. ‘가없다·그지없다·끝없다·덧없다’나 ‘옹글다·옹차다·오롯이·오달지다·오지다’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끝내·내내·내처’나 ‘쭉·쭉쭉·죽·죽죽’으로 나타내어도 되고, ‘오래오래·오래가다’나 ‘한꽃같다·한결같다·한결꽃·한꽃마음·한사랑’으로 나타내어도 어울려요. ‘아득하다·까마득하다’나 ‘늘빛·늘사랑·늘살림·포근사랑’으로 나타낼 만합니다. ‘아이넋·아이빛·어린넋·어린빛’이나 ‘안늙안죽·안 늙고 안 죽다·안 늙다’으로 나타낼 자리가 있어요. ‘온날·온하나·온한빛·온한꽃’이나 ‘흔들림없다·바위·우람돌·큰돌’로 나타내어도 됩니다. ㅍㄹㄴ



그의 철학에 고갱이가 될 영원회귀의 우주론을 착상했다

→ 그이 넋에 고갱이가 될 한꽃길을 떠올렸다

→ 그이 생각에 고갱이가 될 늘빛길을 찾았다

→ 그이 눈꽃에 고갱이가 될 온길을 그렸다

《니체 읽기의 혁명》(손석춘, 철수와영희, 2024) 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