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끼리는 왜 그랬을까? ㅣ 글로연 그림책 36
이셀 지음 / 글로연 / 2023년 11월
평점 :
일시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3.17.
그림책시렁 1557
《코끼리는 왜 그랬을까?》
이셀
글로연
2023.11.25.
그림책 《코끼리는 왜 그랬을까?》를 읽는 내내 “코끼리를 빗대어 왜 이렇게 그릴까?” 싶더군요. 굳이 코끼리를 빗대지 말고서, ‘사람’으로 그리면 됩니다. 사람을 그리기가 어렵다고 여기는 분이 많은데, 사람을 이야기하려면 사람을 그려야 맞습니다. 애꿎게 코끼리를 끌어들여서 ‘코끼리 같지 않은’ 모습을 보여줄 까닭이 없습니다. 코끼리는 힘으로 고지식하게 밀어붙이는 숨빛이지 않습니다. 코끼리는 힘이 아닌 ‘두레사랑’으로 아이를 낳아서 돌보는 ‘푸근빛’을 밝히는 짐승입니다. 어느 짐승이든 다 웃고 웁니다만, 코끼리는 뭇짐승 가운데 눈물을 매우 굵고 짙게 흘릴 줄 알아요. 코끼리는 커다랗고 묵직한 몸집이라고만 여기는 분이 많지만, 코끼리는 가볍게 하늘을 날 줄 아는 짐승이기도 합니다. 코끼리를 그리려 하면, 코끼리가 어떻게 하늘을 날고, 왜 웃고 울며, 사람 곁에서 어떤 숲빛과 보금살림을 가르치고 보여주는지 가만히 짚을 일이라고 느낍니다. 오늘날 우리는 ‘두레’를 까맣게 잊는 서울굴레이면서, ‘사랑’을 모르는 채 ‘사랑시늉’에 갇힌 쳇바퀴이기도 합니다. 사람이 잔뜩 모여야 ‘두레’를 이루지 않아요. 너랑 나, 이렇게 ‘둘’부터 둥그렇게 동무를 이루기에 ‘두레’입니다. 사랑이란, 아기를 낳을 씨앗을 몸에 품은 줄 깨달으면서 숲빛으로 철들어서 너랑 나를 잇는 숨결을 어깨동무로 나눌 적에 피어나는 ‘사람길’입니다.
ㅍㄹㄴ
불확실함 속에서도 코끼리처럼 우직한 순수함을 간직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이 책을 만들었습니다
→ 깜깜해도 코끼리처럼 반듯하게 걷기를 바라며 이 책을 지었습니다
→ 갈팡질팡해도 코끼리처럼 곧게 살기를 바라며 이 책을 그렸습니다
1
풀 속에도 없고 구석진 곳에도 없네
→ 풀밭에도 없고 구석진 곳에도 없네
6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