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 조급하고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마음 처방전, 100만 부 기념 전면 개정판
와타나베 준이치 지음, 정세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5.3.14.
다듬읽기 258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와타나베 준이치
정세영 옮김
다산초당
2018.4.10.
‘둔감(鈍感)’은 ‘둔 + 감’이고, ‘鈍’은 ‘무디다’를 뜻합니다. ‘무디다’는 ‘무뚝뚝·무겁다·무덤덤’으로 잇습니다. ‘뭉툭’으로도 나아가고요. 이다음으로는 ‘뭉떵·몽땅’으로 닿고, ‘뭉텅이·뭉치’에 ‘뭉치다·뭉개다’로 다다르기도 합니다. ‘무·모’로 잇는 결은 ‘몸·뭇·물’로 만나지요. 누구나 무엇이든 느끼게 마련이되, 지나치게 얽매이기보다는 물처럼 흘려보내면서 스스로 흐를 줄 안다면 몸부터 차분히 다스리고 마음을 가만히 다독일 만합니다. 몽땅 느끼고 누리되 모두 내보낸달까요. 마시는 바람을 고스란히 내쉬듯, 나날이 마주하는 모든 일을 스스럼없이 맞아들이고서 기꺼이 내려놓는 셈입니다. 이를테면, 돈을 움켜쥐기에 더 넉넉하지 않아요. 이름을 거머쥐기에 더 높지 않아요. 힘으로 휩쓸기에 더 즐겁지 않습니다. 이 같은 삶결을 헤아리면 누구나 알맞게 하루를 지어요.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는 우리 스스로 지나치게 붙잡는 굴레를 여러모로 짚는 듯싶지만, 어쩐지 알맹이에서는 좀 비껴간 듯합니다. “너무 매이지 말자”는 목소리는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무엇’을 ‘왜’ 마주하는지 바라보지 않거나 들여다보지 않고서야 “안 매일” 수 없어요. 언제나 모든 이 삶이 ‘무엇’인지 차분히 보고서 ‘왜’ 겪고서 다시 ‘무엇’을 배우는지 살핀다면, 걱정근심이란 가볍게 털 수 있어요. 일본에서는 ‘둔감력’이라는 이름으로 나온 책이라는데, “무딘 힘”이나 “무뚝뚝한 힘”으로는 삶을 보내지 못 합니다. “뭇는 기운”과 “물빛”으로 스스로 돌볼 수 있으면 이 삶이 느긋할 만합니다.
ㅍㄹㄴ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와타나베 준이치/정세영 옮김, 다산초당, 2018)
만일 누군가가 자신을 둔하다고 말한다면 대부분 불같이 화를 내지 않을까요
→ 누가 나를 굼뜨다고 말한다면 거의 부아나지 않을까요
→ 누가 나를 느리다고 한다면 으레 불나지 않을까요
17쪽
부정적인 뜻으로 받아들여지곤 합니다
→ 나쁜뜻으로 받아들이곤 합니다
→ 싫어하곤 합니다
17쪽
K는 회사 안에서 매우 평범한 편에 속합니다
→ ㄱ은 일터에서 매우 수수합니다
→ ㄱ은 일터에서 튀지 않습니다
19쪽
원고가 그대로 반송되기도 합니다
→ 글이 그대로 돌아오기도 합니다
24쪽
당시 우리 같은 무명작가에게 편집자가 먼저 연락하는 일은
→ 그때 우리 같은 새내기한테 엮는이가 먼저 찾아오는 일은
→ 그즈음 우리 같은 병아리한테 엮는이가 먼저 묻는 일은
25쪽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했던 게 분명합니다
→ 피가 부드럽게 흘렀구나 싶습니다
→ 피가 잘 흐른 듯합니다
43쪽
조금만 혼나도 세상이 무너진 듯 충격을 받는 사람이
→ 조금만 꾸중해도 하늘이 무너진 듯 놀라는 사람이
→ 조금만 다그쳐도 나라가 무너진 듯 흔들리는 사람이
51쪽
이야기를 나누며 산책을 즐길 때였습니다
→ 이야기를 하며 거닐 때였습니다
→ 이야기하며 걸을 때였습니다
69쪽
물론 사이비 종교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면 문제가 있습니다
→ 다만 거짓절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면 얄궂습니다
→ 다만 속임절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면 걱정스럽습니다
95쪽
요즘 사람들의 저향력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 요즘 사람들이 얼마나 못 견디는지
→ 요즘 사람들이 얼마나 못 배기는지
113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