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03 : 답을 줄 필요 질문의 답 간절 원했
내가 답을 줄 필요는 없지만 그는 질문의 답을 간절히 원했다
→ 내가 대꾸할 일은 없지만 그는 부디 얘기해 주기를 바랐다
→ 내가 말할 까닭은 없지만 그는 꼭 들려주기를 바랐다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어슐러 K.르 귄/진서희 옮김, 황금가지, 2019) 65쪽
모든 길은 스스로 묻는 사람이 가만히 찾습니다. 묻지 않는 사람은 스르로 길을 모를 뿐 아니라, 둘레에서 알려주거나 내주어도 도무지 받아들이지 못 하게 마련입니다. 스스로 묻기에 스스로 느끼려 하고, 스스로 헤아리면서 어느덧 눈길을 틔워요. 남이 이야기를 해주기 바란다면, 애타게 남한테 매인다면, 우리는 언제까지나 길을 못 찾을 뿐 아니라, 바라는 뜻을 못 이룹니다. ㅍㄹㄴ
답(答) : 1. 부르는 말에 응하여 어떤 말을 함. 또는 그 말 = 대답 2. 질문이나 의문을 풀이함. 또는 그런 것 3. 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반응함. 또는 그런 반응 = 회답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질문(質問) : 모르거나 의심나는 점을 물음
간절하다(懇切-) : 1. 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하다 2. 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하다
원하다(願-) : 무엇을 바라거나 하고자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