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3.


《우리들의 선거》

 보리스 르 루아 글·엘렌 조르주 그림/김지현 옮김, 큰북작은북, 2012.3.21.



아침 일찍 고흥읍으로 나간다. 달콤이(케익)를 하나 장만한다. 10:40 시골버스를 타려고 하는데, 이 버스를 타려는 할매할배가 10:24부터 줄을 선다. 이 버스에는 워낙 타는 어르신이 많아서 2012년 뒤로는 아예 안 타다시피 했는데, 지죽으로 들어가는 길에 타는 어르신은 언제부터 줄을 섰을까. 고흥에서 열다섯 해를 살며 “시골버스를 타려고 줄을 선 할매할배” 모습은 오늘 처음 본다. 《우리들의 선거》를 읽었다. 매우 잘 쓴 푸른글이라고 느끼되, ‘서로 좋아하는 순이돌이 두 아이’라는 대목을 좀 덜어내면 훨씬 훌륭하리라 본다. 굳이 왜 끼워넣을까? ‘선거·민주·토론·정치’를 푸름이 눈길로 어질면서 새롭게 마주하는 줄거리에만 힘을 쏟아도 들려줄 이야기가 그득그득할 텐데. 아무튼, ‘그놈들’이 그야말로 못난이처럼 보이더라도 ‘그놈’이라는 말부터 걷어낼 줄 알아야 ‘민주·평등·평화’이다. ‘그놈들’이 뽑기(선거)를 거쳐서 자리(벼슬·권력)를 차지했는데, 그놈들이 왜 뽑혀야 하느냐고, 그놈들을 뽑은 사람은 다 얼간이로 여겨 깎아내리려 한다면, 이때에도 아무런 ‘민주·평등·평화’가 아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서로 이놈저놈 가르며 싸울 뿐이고, 이긴 쪽도 진 쪽도 ‘일’은 팽개치고서 내내 싸우기만 한다.


#Quand J'etais Petit Je Voterai (2007년)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