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민간인 民間人


 일견 보아도 민간인 같다 → 얼핏 보아도 수수하다

 거기에 민간인 조직이 합세한 것이었다 → 그곳에 들꽃무리가 붙었다


  ‘민간인(民間人)’은 “관리나 군인이 아닌 일반 사람. 흔히 보통 사람을 군인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로 풀이를 합니다. 사람은 언제나 사람으로 있는데, 가만히 있는 사람을 굳이 따로 가르는 셈입니다. 이때에는 ‘사람들·사람·우리·울·이웃’이나 ‘여느사람·여느·여느빛·여느꽃’이나 ‘수수님·수수꽃·수수하다·투박하다·흔하다’로 손질합니다. ‘누구나·누구라도·아무나·아무라도’로 손질하고, ‘꽃·잎빛·풀·풀빛’이나 ‘고루숲·두루숲’으로 손질할 만합니다. ‘길꽃·길풀·시골꽃·시골풀’이나 ‘바닥꽃·바닥풀·앉은풀·앉은꽃’으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들꽃·들님·들풀·작은꽃·작은풀’이나 ‘들지기·들꽃님·들꽃지기·들빛님·들빛지기’로 손질합니다. ‘들사람·들꽃사람·들빛사람·들내기·들꽃내기·들빛내기’로 손질하고, ‘풀사람·풀님·풀내기’나 ‘풀꽃사람·풀꽃내기·풀빛사람·풀빛내기’로 손질하고요. ㅅㄴㄹ



민간인을 만나보고 싶다

→ 여느사람을 만나고 싶다

→ 들님을 만나보고 싶다

→ 이웃을 만나보고 싶다

→ 길꽃을 만나보고 싶다

→ 풀사람을 만나보고 싶다

《평화는 나의 여행》(임영신, 소나무, 2006) 39쪽


군대는 상명하복이죠. 그걸 민간인에게 평시에도 적용하려는 자들이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쌈터는 시키면 해야죠. 이를 여느사람한테 늘 시키려는 이들이 힘이 있습니다

→ 싸움터는 시키면 따라야죠. 이를 여느사람한테 늘 윽박지르려는 이들이 힘이 있습니다

《한홍구의 청소년 역사 특강》(한홍구, 철수와영희, 2016) 189쪽


일부 지역도 민간인의 출입이 자유롭지 않았다

→ 몇몇 곳도 사람들이 맘대로 드나들지 못했다

→ 몇 곳도 아무나 오가지 못했다

《전염병 전쟁》(이임하, 철수와영희, 2020) 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