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열기


 장내의 열기는 달아오른다 → 안채는 달아오른다

 콘서트 무대의 열기는 타오르기만 한다 → 노래잔치는 타오르기만 한다

 화산의 열기가 장난이 아니다 → 불갓은 장난 아니게 뜨겁다


  ‘열기(熱氣)’는 “1. 뜨거운 기운 2. 몸에 열이 있는 기운 3. 뜨겁게 가열된 기체 4. 흥분한 분위기”를 가리킨다지요. ‘-의 + 열기’라면 ‘-의’부터 털고서, ‘꿈·꿈꾸다’나 ‘달다·달구다·달아오르다·불콰하다’로 손봅니다. ‘삶다·데우다·찌다·찜통’이나 ‘땀·땡볕·뙤약볕’으로 손보고, ‘더위·덥다·뜨겁다·무더위·가마더위·불더위’로 손봅니다. ‘한더위·함박더위·찜통더위·칼더위·큰더위’나 ‘불·불나다·불붙다·불지르다·불볕’으로 손볼 만해요. ‘불살·불꽃·불꽃튀다·불꽃바다·불꽃물결’이나 ‘길길이·물고물리다·눈치보기·팽팽하다’로 손볼 만하고요. ‘펄펄·팔팔·활활·훨훨·센불·큰불’이나 ‘녹이다·화끈하다·후끈하다·후덥다’로 손보아도 어울리고, ‘힘껏·힘들이다·힘쓰다’나 “있는 힘껏·있는 힘을 다해”로 손봅니다. ‘따갑다·따끔하다·뜨끔하다·뜨다’나 ‘피·피나다·피눈물·피울음·피보다·피땀·피튀다·핏대’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갓 구운 빵들의 열기로 가게 안이 후끈거린다

→ 가게는 갓 구운 빵으로 후끈거린다

→ 가게는 갓 구운 빵기운으로 후끈거린다

《위저드 베이커리》(구병모, 창비, 2009) 18쪽


서른두 번이나 연수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선생님들의 뜨거운 참여 열기 덕입니다

→ 서른두 판이나 배움마당을 열 수 있던 힘은 뜨겁게 함께하신 선생님들입니다

→ 서른두 걸음이나 배움판을 열 수 있던 바탕은 뜨겁게 함께하신 선생님들입니다

→ 뜨겁게 함께한 선생님들이 계셔서 서른두 배움자리를 열 수 있었습니다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인권연대, 철수와영희, 2018) 5쪽


허브를 말릴 때 햇빛이나 불의 열기로 빨리 말리는 방법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 숨풀을 말릴 때 햇볕이나 불기운으로 빨리 말리는 길은 아예 안 쓴다

→ 풀은 햇볕이나 불기운으로는 아예 안 말린다 

《자연의 아이》(줄리엣 디 베어라클리 레비/박준식 옮김, 목수책방, 2019) 29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