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17.
《우리 곁에 있어야 할 법 이야기》
최정규 글, 김푸른 그림, 철수와영희, 2024.10.30.
오늘은 과역초 5·6학년 어린이한테 ‘눈·나·비’라는 낱말로 우리말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윽고 ‘12월 꽃찔레(장미)’를 이야기한다. 바로 옆에 있는 울타리에 꽃찔레 한 송이가 꽃망울을 틔우려 하는데 보았느냐고 물으니 딱 한 아이가 보았다더라. 그래서 ‘꽃대·꼰대’가 말끝 하나로 얼마나 다른 길인지 짚는다. 철이 들고 어질면서 씨앗을 남길 줄 알기에 어른이라서 꽃대로 간다면, 나이만 먹고 늙고 낡으면서 억누르거나 올라서려 하기에 불쌍한 굴레로 꼬부라지고 꼬여서 꼰대로 간다고 들려준다. 앞으로 나아갈 길에 어린이 여러분 스스로 꽃대로 설는지, 꼰대로 구를는지, 차분히 돌아볼 줄 아는 길은 바로 아주 조그마한 씨앗 같은 말씨 하나에서 비롯할 수 있다고 짚는다. 《우리 곁에 있어야 할 법 이야기》를 읽었다. ‘틀’이란 ‘튼튼’을 밑동으로 삼는 낱말이다. ‘틀’은 든든히 세우면 튼튼히 버티는 기둥 노릇일 테지만, 딱딱하게 만들면 그만 올가미에 수렁으로 가두는 꼴이다. ‘법(法)’이라는 한자를 우리말로 옮기면 ‘틀’도 되고 ‘길’도 된다. 길들이는 길일 수 있으나, 기르는 길일 수 있다. 글쓴이가 ‘틀·길’을 더 헤아리면서 차분히 짚으려 했다면 한결 나았을 텐데 싶다. 한쪽으로 기울면 그만 ‘뒤틀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