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5.
《안철수, 내가 달리기를 하며 배운 것들》
안철수 글, 21세기북스, 2019.10.9.
오늘은 거의 한 달 만에 가만히 집에 머물면서 여러 일을 추스른다. 해를 보고 바람을 마신다. 불때는 기름 300ℓ를 받는다. 1ℓ에 1170원이다. 큰아이하고 곁님은 배추를 절인다. 일찍 저무는 하늘은 별빛으로 넘실거린다. 하룻밤으로 ‘우스꽝’스레 끝난 모지리짓을 돌아본다. 모지리짓을 일삼은 무리만 나라를 망가뜨리지 않는다. 어깨동무(민주)를 잊은 채 이야기(대화)도 어울림(타협)도 없는 모든 사람이 한통속이다. 밉말(혐오)은 ‘저놈’만 하지 않는다. 이미 ‘저놈’이라고 금을 그은 채 등지고 말을 안 섞고 나무라는 사람도 똑같이 밉말을 하는 얼거리인 줄 보아야 한다. ‘저놈’이 밉말을 하기에 저놈한테 밉말을 해도 될 턱이 없다. 똑같이 밉말잔치를 벌이는 나라에는 빛도 씨앗도 없다. 나부터 밉말을 멈추고서 어깨동무와 이야기와 어울림길을 살피는 씨앗을 심을 때에 이 나라에 새살림을 열 수 있다. 《안철수, 내가 달리기를 하며 배운 것들》을 읽었다. 자랑(자화자찬)이 조금 섞였지만 매우 잘 썼다. 발바닥으로 땅바닥을 느끼는 길이 달리기인 만큼, 더 스스로 낮추며 글을 여민다면 한결 빛날 테고, 책이름에 ‘안철수’를 빼면 훨씬 낫다. 딸아이 꾸지람과 도움말을 들을 줄 아는 어버이라면, 나라일(정치)을 해도 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