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전유·전유물 專有


 양반 계층에만 전유되는 물건이었다 → 나리만 누리는 살림이다

 지구는 인간에게 전유되어 있는 대상이 아니다 → 파란별은 사람만 차지하지 않는다

 특권층의 전유물 → 몇몇이 거머쥔 / 그들이 휩쓴

 남성들의 전유물 → 사내끼리 쥔 / 사내 손아귀

 부유층의 전유물이라 여겨지던 때 → 돈꾼이 주무른다고 여기던 때

 그들의 전유물인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 → 그들잔치로 여기던


  ‘전유(專有)’는 “한 사람이나 특정한 부류만 소유하거나 누림”을 가리키고, ‘전유물(專有物)’은 “한 사람이나 특정한 부류만 소유하거나 누리는 물건”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끼리·끼리끼리·끼리질·끼리짓기’나 “끼리끼리 놀다·끼리끼리 어울리다·끼리끼리 만나다”로 고쳐씁니다. ‘담·담벼락·돌담·돌담벼락·안담·안담벼락’이나 ‘우리·울·울타리’로 고쳐쓰고, ‘차지·도차지·-만·사재기·혼차지·혼자차지’나 ‘혼자하다·홀로하다’로 고쳐쓰지요. ‘손·손아귀·누비다·누리다’나 ‘거머잡다·거머쥐다·검잡다·검쥐다·움켜잡다·움켜쥐다’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잡다·잡히다·주무르다·쥐다·휘어잡다’나 ‘깔고앉다·또아리·똬리·따바리’로 고쳐쓸 만합니다. ‘그들잔치·그들판·그들마당·그들놀이·그들나라’나 ‘쓱·쓱싹·쓸다·쓸어가다·쓸리다·휩쓸다·해먹다’로 고쳐쓰고, ‘오르다·올라가다·올라앉다’로 고쳐쓰면 돼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전유’를 여덟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전유(全乳) : 지방을 빼지 아니한 자연 상태의 우유

전유(全癒/?愈) : 1. 병이 완전히 나음 = 완쾌 2. 병이나 상처가 깨끗이 나음 = 쾌유

전유(前儒) : 전대의 유생(儒生)

전유(傳諭) : [역사] 임금의 명령을 의정(議政) 또는 유현(儒賢)에게 전하던 일

전유(煎油) : 전병이나 누름적 따위를 기름을 친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놓고 지져서 익히는 일. 또는 그런 음식 ≒ 전

전유(錢?) : [인명] 중국 오대(五代) 오월(吳越)의 왕(852∼932)

전유(轉乳) : [한의] 젖을 게우는 병증 = 현유

전유(轉游) : 여기저기를 두루 돌아다니며 유람함



아름다움이 미술관과 살롱의 전유물로 갇혀 있기보다는 일상의 삶 속에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하는 예술 운동의 한 결실인 셈이었죠

→ 그림밭과 모임뜰이 아름다움을 휩쓸며 가두기보다는 우리 삶이어야 한다고 여기는 꽃나래가 열매를 맺은 셈이죠

《에드워드 슈타이켄, 성공신화의 셔터를 누르다》(최봉림, 디자인하우스, 2000) 79쪽


이 우아한 예술은 일본의 전문 꽃꽂이 예술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 이 아름다운 길은 일본에서 몇몇 꽃꽂이꾼만 누리지 않는다

→ 이 멋스러운 빛은 일본에서 몇몇 꽃꽂이님끼리 하지 않는다

《아나스타시아 7 삶의 에너지》(블라지미르 메그레/한병석 옮김, 한글샘, 2012) 210쪽


시는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는 불필요한 기준 혹은 규정들이 시를 소수의 전유물로 만든 게 아닌가요

→ 노래는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는 덧없는 잣대나 틀로 노래를 몇몇 손아귀에 놓지 않았나요

《시의 눈, 벌레의 눈》(김해자, 삶창, 2017) 290쪽


질투와 미움이 마치 소녀의 전유물인 양 그려지는 방식은

→ 마치 순이끼리 샘내고 미워하는 듯 그리는 얼개는

→ 마치 가시내만 시샘하고 미워한다고 그리는 틀은

《우리에게 우주가 필요한 이유》(송수연, 문학동네, 2022)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