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정념 情念
사랑의 정념 → 사랑얼 / 사랑빛 / 사랑숨결 / 사랑불꽃
정념에 사로잡히다 → 속빛에 사로잡히다 / 밑빛에 사로잡히다
정념에 불타다 → 불타다 / 불타오르다 / 불붙다
‘정념(情念)’은 “감정에 따라 일어나는, 억누르기 어려운 생각 ≒ 정사”를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느끼다·느낌·늧’이나 ‘마음·맘·마음꽃·마음결·마음새’나 ‘마음길·마음밭·마음빛·마음자리’로 풀어냅니다. ‘밑·밑동·밑빛’이나 ‘밑바탕·밑절미·밑꽃·밑틀’이나 ‘밑뿌리·밑싹·밑씨·밑자락’으로 풀어낼 만합니다. ‘바탕·바탕길·바탕꽃’이나 ‘빛·빛살·빛발·뿌리’로도 풀어요. ‘불·불길·불꽃’이나 ‘불나다·불내다·불붙다·불지르다’나 ‘불타오르다·불타다·불앓이·불뿜다’나 ‘불덩이·불더미·불공’으로 풀어도 어울려요. ‘삶넋·삶얼’이나 ‘생각·얼’로 풀 만하고요. ‘속·속내·속빛·속마음·속생각’이나 ‘속말·속살·속소리’로 풀고, ‘숨·숨결·숨빛·숨소리·숨길’로 풀지요. ‘숨은넋·숨은얼·숨은마음·숨은빛’이나 ‘온꽃·온빛’으로 풀어내어도 되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정념(正念)’을 “1. [불교] 팔정도의 하나. 정견(正見)으로 파악한 모든 법의 본성과 모습을 바로 기억하여 잊지 않는 일이다”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우리가 옮겨내려는 말을 정념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생각으로 바꿔볼 필요가 있다
→ 우리가 옮겨내려는 말을 마음이 우리한테 밝히려는 생각으로 바꿔 보아야 한다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장 자크 루소/주경복·고봉만 옮김, 책세상, 2002) 31쪽
그 사내는 어마어마한 정념을 불태우고 있다
→ 그 사내는 속빛을 어마어마하게 불태운다
→ 그 사내는 밑동을 어마어마하게 불태운다
《하이스코어 걸 9》(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0) 6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