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대갈일성



 대갈일성을 지르며 내달리니 → 내지르며 내달리니 / 소리치며 내달리니

 즉각 대갈일성이었다 → 바로 고래고래였다 / 곧장 윽박이다 / 곧바로 벼락이다

 대갈일성이 폭발하는 찰나에 → 날벼락이 터지는 때에 / 확 나무라는 즈음에


대갈일성(大喝一聲) : 크게 외쳐 꾸짖는 한마디의 소리 ≒ 대규일성



  ‘외치다’라는 우리말은 크게 내는 소리를 가리킵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대갈일성’이라는 한자말을 “크게 외쳐 꾸짖는”으로 풀이하지만 겹겹말이에요. ‘꾸짖다’도 잘못을 크게 밝히거나 짚는 말짓을 나타내거든요. 이러구러 ‘호통·호되다’나 ‘이끌다·끌다·거느리다·다스리다’로 고쳐쓰고, ‘지르다·내지르다’나 ‘나무라다·꾸중·꾸지람·꾸짖다’로 고쳐씁니다. ‘타박·핀잔’이나 ‘물벼락·불벼락·감벼락·날벼락·벼락·번개’로 고쳐쓸 만하고, ‘시키다·외치다·윽박·을러대다·부라리다’나 ‘말·말하다·가라사대’로 고쳐써도 돼요. ‘목소리·소리·소리치다·큰소리’나 ‘울부짖다·울다·우짖다’로 고쳐쓸 수 있어요. ‘고래고래·높소리·내려보내다’로 고쳐쓰기도 합니다. ㅅㄴㄹ



방 안에 들어섰더니 결가부좌하고 삼매에 들어선 모습이 참 보기 좋아. 그래서 옛 스님들 흉내내서 대갈일성 했지

→ 자리에 들어서니 반듯하게 고요에 들어선 모습이 참 볼 만해. 그래서 옛스님 흉내내서 큰소리쳤지

→ 칸에 들어서니 틀어앉고 깊게 들어선 모습이 참 볼 만해. 그래서 옛스님 흉내내서 꾸짖었지

《자연의 밥상에 둘러앉다》(윤구병, 휴머니스트, 2010) 1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