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가식적
가식적 행동 → 꾸민 몸짓 / 억짓짓 / 거짓 매무새 / 거짓스런 몸짓
가식적인 웃음 → 거짓 웃음 / 꾸민 웃음 / 억지 웃음 / 지어낸 웃음
가식적인 태도 → 눈비음 / 겉발림 / 말뿐 / 입만 살다 / 속없다 / 아웅
‘가식적(假飾的)’은 “말이나 행동 따위를 거짓으로 꾸미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겉멋·겉발림·겉치레’나 ‘겉·눈비음·겉속다름·다른겉속’으로 손질합니다. ‘종이쪽·종잇조각’이나 ‘꾸미다·치레·억지·어거지’로 손질하고, ‘멋·멋스럽다·멋꽃·멋빛·멋부리다’나 ‘치레·치레하다·치레질’로 손질할 만합니다. ‘반들거리다·번들거리다·번지르르’나 ‘옷·옷가지·옷자락·옷갈이·옷바꾸기’로 손질하지요. ‘말로·말뿐·벙긋질’이나 ‘이름만·이름뿐·이름치레’나 ‘입으로·입만·입뿐·입만 살다·입벙긋’으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허울·허우대’나 ‘비다·빈수레·빈껍데기’로 손질해요. ‘텅비다·속없다·허울좋다’로 손질하고요. ‘아닌 척·아닌 체·없는 척·없는 체·있는 척·있는 체’나 ‘아웅·알없다’로 손질할 만합니다. ㅅㄴㄹ
가령 내가 절대로 클래식 음악회엔 가지 않는 것은 거기서 내가 만들어내야 할 가식적 분위기가 싫기 때문이다
→ 나는 옛노래마당엔 가지 않는데, 거기서는 겉치레를 해야 해서 싫다
→ 나는 옛날노래잔치엔 안 가는데, 거기서는 나를 꾸며야 해서 싫다
→ 나는 오래노래자리엔 안 가는데, 거기서는 멋을 부려야 해서 싫다
《풀종다리의 노래》(손석희, 역사비평사, 1993) 54쪽
그런 문제 때문에 굳이 가식적인 태도를 취하지도 않았다
→ 그런 일 때문에 거짓스러운 모습을 보이지도 않았다
→ 그렇지만 굳이 억지를 부리지도 않았다
→ 그런 일 때문에 굳이 아닌 체하지도 않았다
→ 그렇지만 굳이 치레하지도 않았다
《약소국 그랜드 펜윅의 뉴욕 침공기》(레너드 위벌리/박중서 옮김, 뜨인돌, 2005) 11쪽
화를 참으니까 행동이 가식적이 되는 거야
→ 부아를 참으니까 꾸며
→ 골을 참으니까 어거지를 써
《악마와 러브송 1》(토모리 미요시/서수진 옮김,대원씨아이, 2008) 26쪽
내가 귀찮다 이건가. 다행이다. 좋아하기 전에 가식적인 사람이라는 걸 알아서 다행이다
→ 내가 귀찮은가. 잘됐다. 좋아하기 앞서 겉속이 다른 사람인 줄 알아서 잘됐다
→ 내가 귀찮은가. 고맙다. 좋아하기 앞서 입만 산 사람인 줄 알아서 고맙다
《아침이 오니까》(라가와 마리모/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1) 27쪽
진심이 빠지고 가식적인 틀 속에서 창작을 하게 될 것이다
→ 참마음이 빠지고 꾸며내는 틀로 짓는다
→ 속마음이 빠지고 억지스런 틀에 갇혀 짓는다
→ 속내가 빠지고 겉치레란 틀로 짓는다
《나의 살던 북한은》(경화, 미디어 일다, 2019) 89쪽
본심과 다른 가식적이고 위선적인 모습을 뜻할 때가 있지요
→ 밑마음과 다른 허울에 거짓을 뜻할 때가 있지요
→ 속마음과 달리 꾸미고 일그러진 모습도 뜻하지요
《어린이를 위한 우리말 어감 사전》(안상순, 다락원, 2022) 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