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노포 老鋪


 오래도록 운영한 노포 → 오래도록 꾸린 집안가게

 서울 최고의 노포 → 서울에서 으뜸가는 옛가게

 노포의 장사법 → 집안가게 장사법 / 옛가게 장삿길


  ‘노포(老鋪)’는 “대대로 물려 내려오는 점포(店鋪)”를 가리킨다고 하지만, 일본에서 흔히 쓰는 한자말입니다. 이 한자말은 ‘집안가게·물림가게·물림집’처럼 고쳐쓸 만하고, 오래되었다는 뜻만 담아서 ‘옛가게·옛날가게·옛적가게’나 ‘오래가게·오랜가게’라 할 수 있습니다. ‘텃가게·텃집’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노포’를 네 가지 더 싣지만, 모두 털어낼 노릇입니다. ㅅㄴㄹ



노포(老圃) : 농사일에 경험이 많은 농부

노포(弩砲) : [고적] = 쇠뇌

노포(露布) : 일반에게 널리 퍼뜨림

노포(露布) : [문학] 중국 문체(文體)의 하나. 봉함을 하지 않고 노출된 채로 선포하는 포고문인데, 주로 전승(戰勝)을 급히 알리는 데에 사용되었다



그런 자세의 노포가 교토에 꽤 많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그렇게 하는 집안가게가 교토에 꽤 많이 남았구나 하고 알 수 있다

→ 그렇게 하는 옛가게가 교토에 꽤 많이 남았구나 하고 알 수 있다

→ 그렇게 하는 오랜가게가 교토에 꽤 많이 남았구나 하고 알 수 있다

《거리를 바꾸는 작은 가게》(호리에 아쓰시/정문주 옮김, 민음사, 2018) 103쪽


우리 집은 창업 420년의 노포 포목점이고

→ 우리 집은 420년 된 오랜 드팀집이고

→ 우리 집은 420년이 된 피륙가게이고

→ 우리 집은 420년 묵은 옷감집이고

《전당포 시노부의 보석상자 6》(니노미야 토모코/이지혜 옮김, 대원씨아이, 2018) 83쪽


국내에는 이제 노포가 두 군데밖에 없다고 말했지만

→ 나라에 이제 오랜가게가 두 군데밖에 없다고 했지만

→ 나라에 이제 물림가게가 두 군데밖에 없다고 했지만

→ 나라에 이제 물림집이 두 군데밖에 없다고 말했지만

《눈물비와 세레나데 2》(카와치 하루카/심이슬 옮김, 삼양출판사, 2018) 63쪽


노포만의 독자적인 페어를 2개월에 한 번씩 개최

→ 오랜집 나름대로 책잔치를 두 달마다 하기

→ 오랜가게 나름대로 책놀이를 두 달마다 하기

→ 물림집 나름대로 책한마당을 두 달마다 열기

→ 물림가게 나름대로 책마당을 두 달마다 열기

《꿈의 서점》(하나다 나나코·기타다 히로미쓰·아야메 요시노부/임윤정 옮김, 앨리스, 2018) 141쪽


서민들에게 제대로 공급시켜 주는 시니세(老鋪)의 상인들을 존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 사람들한테 제대로 대주는 오래가게 지기를 섬겼다고 합니다

→ 사람들한테 제대로 드리는 물림가게 일꾼을 높이 샀다고 합니다

《키워드로 만나는 일본 문화 이야기》(최수진, 세나북스, 2022)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