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날짜 2024.10.9.물.
날짜를 보면서 싹트는 씨앗은 없어. 날씨를 보면서 싹트는 씨앗이야. 날짜를 헤아려 오가는 새는 없어. 날을 헤아려 오가는 새란다. 어느 나무도 날짜를 아랑곳하지 않아. 어느 풀꽃도 어느 열매도 어느 해와 별도 날짜는 안 따진단다. 그래서 “나이를 먹는” 숨결이 없어. 풀꽃나무도 짐승도 헤엄이도 “몸을 입고 태어난 날”부터 이 삶을 배우면서 자라나. 마지막에 이른 날에 몸을 내려놓을 적에는, 이 삶에서 그동안 익힌 모든 슬기를 빛방울에 담아서 흩뿌리지. 나무가 쓰러져도, 풀이 시들어도, 거미가 톡 떨어져도, 사마귀가 다리힘이 풀려도, 다들 빛방울을 흩뿌리면서 웃어. 여태 몸에 담았던 ‘기운’을 둘레에 베푼단다. 겉몸은 흙으로 돌아가는 거름이고, 마음은 빛방울로 여민 기운이야. 이 별도 다른 모든 별도 뭇숨결이 주고받고 내놓는 숱한 빛방울을 품어서 반짝인단다. 푸른별(지구)이 아직 밖(우주)에서 보기에 그저 티끌 하나만 하던 때에도 ‘티끌이 아닌 씨앗’으로서 꿈을 그렸고, 이 작은 별씨앗이 천천히 싹트고 깨어나고 퍼지면서 조금씩 덩이(몸)를 이루었어. 이 별씨앗으로 다가오거나 스며든 ‘더 작은 숨씨앗’이 나고자라다가 스러지면서 빛방울을 내놓았거든. 사람도 새도 짐승도 풀도 나무도 ‘저보다 작은 다른 빛방울’을 꾸준히 받아들여서 움직이다가 새롭게 내놓으면서 살아가. 다른 몸을 빛방울로 받아들이니 숨을 쉬고, 제 몸을 다른 숨붙이한테 내주면서 숨이 빛나. 이 모든 일은 그저 흐르는 길이야. 날짜로는 셀 길이 없어. 날짜가 아닌 ‘나’를 바라보고 ‘날개’를 펴는 오늘에 서면서 잇고 이루어 간단다. 하루가 가고 오는 줄 느낄 적에만 날짜를 보면 돼. 보았으면 그만 잊으면서 네 새길을 바라볼 노릇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