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복숭아 - 그렇게 엄마는 너를 만났어
유혜율 지음, 이고은 그림 / 후즈갓마이테일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0.31.

그림책시렁 1485


《엄마와 복숭아》

 유혜율 글

 이고은 그림

 후즈갓마이테일

 2020.7.1.



  아이는 엄마 혼자 안 낳습니다. 아빠가 함께 낳습니다. 아기는 엄마 뱃속에서 자라되, 아빠가 곁에서 집안일을 도맡고 집살림을 가꿀 줄 알아야 합니다. 엄마는 ‘아기 몸’과 ‘엄마 몸’을 나란히 살피는 하루를 살 노릇이고, 아빠는 ‘두 사람 몸’과 ‘아빠 몸’을 고루 헤아리는 하루를 지을 노릇이에요. 《엄마와 복숭아》를 곰곰이 읽습니다. 아기를 맞이하는 엄마가 걸어가는 길을 차근차근 그린 듯싶으나 “아빠는 어디 있을까?” 아리송합니다. 온누리 적잖은 아빠는 아빠답지 않거나 아빠길을 잊거나 잃기도 하지만, 엄마 혼자 온마음을 기울여서 힘내는 분이 많습니다만, 참말로 아빠란 놈팡이는 어디 있을까요? 들숲바다에서 엄마 혼자 아기를 낳는 일이 드문드문 있되, 들숲바다 뭇숨결은 엄마아빠가 나란히 살림을 짓게 마련입니다. 사람누리는 사람들 스스로 서울(도시)을 세우고 나라(정부)에 얽매이면서, 숱한 사내는 싸울아비(군대)로 휩쓸리고 쳇바퀴나 톱니바퀴로 구릅니다. 넋을 잃은 아빠를 어질게 찾아서 슬기롭게 풀어내는 길을 밝힐 때에, 비로소 아이는 온누리를 가꾸는 사랑을 알아봅니다. 이 별은 혼자 살림하는 데가 아닙니다. 이 별은 함께 사랑짓는 터전입니다. 집을 잊고 잃은 아빠를 집으로 불러와야 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