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8.3.
《여름, 제비》
구윤미·김민우 글·그림, 노란상상, 2023.6.8.
늦여름 더위를 누리면서 빨래를 하고 이불을 말린다. 하루일을 하고서 더위를 식히다가 두바퀴를 달린다. 등짐으로 수박을 나른다. 천천히 들길을 가르는데, 오늘 따라 흰새가 유난히 많다. 구름 한 조각조차 없는 파란하늘은 이제 까만하늘로 바뀌고, 미리내가 물결치는 별잔치로 넘어간다. 매미는 한밤에 이르러 노래를 멈추고서 쉰다. 풀벌레노래가 감돈다. 작은아이 자는 곁으로 가서 틈틈이 부채질을 한다. 《여름, 제비》를 읽는다. 서울아이가 모처럼 시골집에 와서 제비를 만나는 줄거리는 잘 짰다고 느끼지만, 시골집을 너무 못 그렸다. 시골집을 모르는 서울사람 눈으로는 ‘뭐가 엉성한지 모를’ 만하리라. 처마도 섬돌도 밖마루도 이 그림처럼 안 생겼고, 기둥도 들보도 도리도 이런 모습이 아니다. ‘구경하거나 찰칵찰칵 찍은 모습’으로만 그릴 적에는 뒤틀린다. 시골집에서 살지 않은 채 시골집을 그린다거나, 제비를 철마다 만나는 여러 해를 누리지 않고서 붓질을 한다면, 아무리 그림(사진·영상)으로 많이 들여다보았더라도 맨눈으로 만나지 않은 채 붓질만 한다면, 헛바퀴로 그치고 만다. 나는 잿집(아파트)에서 안 살기에 잿집을 못 그린다. 부디 시골에 깃들어 느긋이 살림을 짓고 나서 붓을 쥐는 이웃이 늘어나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