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행복
엄마의 행복이 중요하다 → 엄마가 기뻐야 한다 / 엄마가 오붓해야 한다
나의 행복부터 찾고서 → 나부터 즐겁고서 / 나부터 따뜻하고서
아이의 행복을 바란다면 → 아이가 잘되기를 바란다면
‘행복(幸福)’은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를 가리킨다지요. ‘-의 + 행복’ 얼거리라면 ‘-의’를 털어낸 뒤에, ‘기쁘다·즐겁다·흐뭇하다·반갑다’나 ‘고맙다·좋다·좋은일·재미있다·재미나다’로 풀어낼 만합니다. ‘꽃·꽃날·꽃길·꽃바람’이나 ‘무지개·무지개길·무지개날’이나 ‘빛·빛꽃·빛날·빛살·빛발·빛길’로 담아낼 수 있습니다. ‘사랑·사랑꿈·사랑놀이·사랑짓’이나 ‘신·신나다·신명·신바람·신꽃·신명꽃·신바람꽃’이나 ‘신바람길·신바람날·신바람철’이나 ‘아름답다·아름날·아름철·아름길’로 담아내어도 어울려요. ‘예쁘다·윤슬·라온’이나 ‘달다·달달하다·달콤하다·단꿈·고소하다’나 ‘보람·호강·휘파람·넉넉하다’로 담아낼 만합니다. ‘오붓하다·아늑하다·걱정없다·근심없다·살갑다·곰살갑다’도 어울리고, ‘늘기쁨·뭇기쁨·모두기쁨·온기쁨·작은기쁨’처럼 새말을 엮을 수 있고, ‘웃다·하하·하하호호·해낙낙하다’나 ‘배부르다·푸짐하다·푸지다’로 담을 만합니다. ‘잘·잘되다·잘 먹다·잘살다·잘 있다·잘코사니’나 ‘포근하다·푸근하다·따뜻하다·따스하다·살갑다’나 ‘잔치·꽃잔치·사랑잔치·아름잔치’로 담아 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노후의 행복은 심신의 안정과 유유자적에 있다
→ 늘그막은 차분하고 느긋해야 즐겁다
→ 늘그막은 온통 참하고 넉넉할 때에 즐겁다
→ 늘그막은 가만가만 너그러워야 즐겁다
→ 늘그막은 홀가분히 지내야 즐겁다
《혼자 부르는 합창》(박완서, 진문출판사, 1977) 118쪽
한 가지의 최고만이 아닌 백 가지의 최선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다면, 분명 ‘우리 아이들’의 행복지수는 그만큼 올라갈 겁니다
→ 한 가지만 으뜸이 아닌 온갖 길이 어우러질 수 있다면, ‘우리 아이들’은 그만큼 더 즐겁습니다
→ 한 가지만 잘하지 않고 온 가지가 곱게 어우러질 수 있다면, ‘우리 아이들’은 틀림없이 더 즐거울 수 있습니다
《아버지 당신은 산입니다》(안재구·안영민, 아름다운사람들, 2003) 48쪽
인간의 행복은 무조건적으로 기쁜 거야
→ 사람은 기쁠 적에 그냥 기뻐
→ 사람은 기쁘면 마냥 기뻐
《너와 나의 발자취 5》(요시즈키 쿠미치/정은서 옮김, 서울문화사, 2014) 88쪽
세상을 좀더 바르게, 좋게 만들기 위해, 보다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 나라를 좀더 바르게, 잘 가꾸려고, 너른 이웃이 즐겁도록 애쓰는 사람이
→ 삶터를 좀더 바르게, 제대로 지으려고, 누구나 기쁘도록 땀흘리는 사람이
《창작수업》(변영주, 창비, 2018) 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