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월간토마토>에 함께 싣습니다
..
숲노래 우리말꽃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5
아이들하고 호두에 땅콩을 함께 먹다가 문득 ‘견과’라는 낱말을 돌아본다. 언제부터 이 한자말을 썼을까? 아이들이 대여섯 살이던 무렵에는 ‘견과’라는 소리를 내기도 버거워 했는데, 그때에는 ‘땅콩·호두·잣’이라고만 뭉뚱그리고서 넘어갔다고 느낀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낱말책도 뒤적인다. 우리 낱말책에 ‘굳은열매’라는 올림말이 있지만, 거의 죽은말이다. 아무도 이 낱말을 안 쓴다. 그러면 그냥 ‘견과’를 써야 할까? 아니면 앞으로 태어나서 자라날 뒷사람을 헤아려 오늘부터 새말을 엮을 수 있을까? 무슨 호박씨 하나로 골머리를 앓느냐고 핀잔하는 소리가 저 멀리서 들리지만, 해바라기씨를 즐겁게 까먹고 싶으니 마음을 기울이고 머리를 쓰고 생각을 여미어 본다.
단단알
우리 낱말책을 펴면 ‘굳은열매’가 올림말로 있다. 그러나 이 낱말을 아는 사람을 여태 못 봤다. 다들 그냥 으레 ‘견과·견과류’만 쓸 뿐이다. ‘견과 = 堅 + 果’이니, ‘단단 + 열매’라는 뜻이다. ‘굳은열매’는 잘 지었되, 제대로 알리거나 살리지 못 했다고 느낀다. ‘견고’ 같은 한자말은 ‘굳은’도 뜻하지만, 이보다는 ‘단단·든든·딱딱·탄탄’ 쪽에 가깝지 싶다. 그러니 ‘단단열매’로 돌아볼 만한데, 밤나무나 참나무나 호두나무는 ‘밤알·호두알’이라 하듯 ‘열매’보다는 ‘알’이라는 낱말로 가리키곤 한다. 그러니 ‘단단알’처럼 새말을 지어서 쓰자고 할 적에 어울리다고 느낀다. 또는 ‘굳알’처럼 ‘-은-’은 덜고서 단출하게 쓸 수 있다.
단단알 (단단하다 + ㄴ + 알) : 껍데기와 깍정이가 단단한 알. 껍데기와 깍정이로 단단히 감싼 알. 밤·호두·도토리·개암·잣에 땅콩·은행에 호박씨·해바라기씨이 있다. (= 단단열매·굳은알·굳은열매·굳알·굳열매. ← 견과堅果, 견과류堅果類)
난해달날
태어난 해랑 달이랑 날을 한자말로는 ‘생년월일’이라 하고 ‘생 + 년월일’인 얼개이다. 이 얼개를 조금 뜯으면, 우리말로 쉽게 “태어난 해달날”이라 할 만하고, 줄여서 ‘난해달달’이라 할 수 있다. ‘난날·난해’처럼 더 짧게 끊어도 된다.
난해달날 (나다 + ㄴ + 해 + 달 + 날) : 태어난 해·달·날. 몸을 입은 모습으로 이곳으로 나오거나 온 해·달·날. (= 난해난날·난날·난때·난무렵·난해. ← 생년월일)
난해달날때 : 태어난 해·달·날·때. 몸을 입은 모습으로 이곳으로 나오거나 온 해·달·날·때. (← 생년월일시)
마흔돌이
나이를 셀 적에 우리말로는 ‘살’이라 한다. 한자말로는 ‘세(歲)’라 하는데, 이 한자말은 높임말로 여기기도 하는데, 참 얄궂다. 왜 우리말로 나이를 세면 낮춤말이고, 한자말로 나이를 세면 높임말인가? 우리는 나이를 셀 적에 굳이 ‘살’을 안 붙이곤 한다. 스무 살이면 ‘스물’이라고, 여든 살이면 ‘여든’이라 한다. 이리하여 ‘마흔돌이’나 ‘마흔순이’처럼 가리킬 만하고, ‘마흔줄·쉰줄’ 같은 말씨는 꽤 널리 쓴다.
마흔돌이 : 마흔 살인 돌이. 마흔∼마흔아홉 살 사이인 사내. (← 40대 남성)
마흔순이 : 마흔 살인 순이. 마흔∼마흔아홉 살 사이인 가시내. (← 40대 여성)
마흔줄 : 마흔∼마흔아홉 살 사이인 나이. (← 40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