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6.2.


《미래 세대를 위한 건축과 국가 권력 이야기》

 서윤영 글, 철수와영희, 2024.1.1.



어제하고 오늘은 아침에 구름이 조금 나온다 싶다가 어느새 걷히면서 볕이 넉넉하다. 첫여름으로 접어든다. 집밖으로 나가면 시골이어도 마을에서 나무를 보기 어려워 불볕이고, 우리 집 마당에서는 나무가 우거져서 시원하다. 예부터 어느 곳에서나 집에 나무를 빙 둘렀고, 마을은 숲정이를 품었다. 이러면서 집과 마을은 언제나 숲 한복판에 깃든 얼거리였다. 여름은 시원하고 겨울은 포근하던 우리 옛살림이다. 나무를 품는 시골집에서 살며 ‘옛 살림집’이 ‘고작 종이 한 겹 바른 미닫이’였어도 다들 오순도순 살아올 수 있던 수수께끼를 깨닫는다. 《미래 세대를 위한 건축과 국가 권력 이야기》를 곱씹는다. 여러모로 잘 쓴 꾸러미라고 느끼면서도 ‘집과 나라주먹’보다는 ‘집과 마을’이라든지 ‘집과 살림살이’나 ‘집과 보금자리’처럼, 또는 ‘사람집과 멧새집’이나 ‘집을 짓는 수수한 사람 손길’이라는 얼거리로 바라본다면 훨씬 나았으리라 느낀다. 글(기록)로는 남지 않은 수수한 사람들이 시골집(흙집·풀집)을 어떻게 짓고서 살림도 어떻게 가꾸었는지 돌아보는 얼거리를 하나씩 펴노라면, 오늘날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집’이 왜 “짓는 곳”을 가리키는 낱말인지 알아차리도록 길잡이 노릇을 하리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