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내가 좋아하는 것들 13
조혜진 지음 / 스토리닷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숲책 / 환경책 읽기 2024.7.26.

숲책 읽기 225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조혜진

 스토리닷

 2024.4.30.



  더운 여름을 어떻게 견디느냐 묻는 이웃이 많습니다만, 여름이기에 바람이(에어컨·선풍기)를 안 쓴다고 말합니다. ‘불(전기)’을 먹여야 돌아가는 ‘바람이’가 아닌, 언제나 온누리를 푸르게 감싸는 ‘바람’을 바라면서 “바람아! 이리 와! 이리 와서 함께 놀자!” 하고 불러요. 이러면 바람은 휙 불면서 우리 집 마당에서 자라는 나무를 살살 간질이면서 시원시원 풀어냅니다.


  추운 겨울을 어떻게 나느냐고 묻는 이웃도 많습니다만, 겨울이기에 겨울추위를 실컷 누린다고 말합니다. 겨울이니까 손가락이 곱고 얼면서 글을 씁니다. 스무 살에도 서른 살에도 마흔 살에도 쉰 살에도, 여름에는 땀잔치로 글을 쓰고 겨울에는 언손으로 글을 씁니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아요. 스무 살부터 여태 손빨래를 합니다. 종이(운전면허증)를 안 거느리는 터라, 늘 걷거나 두바퀴(자전거)로 다닙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어떻게 살아가느냐고 되묻곤 하는데, “저는 스스로 숲이기를 바라기에, 숲이 옛날부터 오늘을 거쳐 앞으로 나아가는 길에 어울리는 길로 걸어가며 웃습니다.” 하고 보탭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조혜진, 스토리닷, 2024)은 숲을 숲으로 바라보려고 하는 발걸음을 들려줍니다. 요사이는 ‘숲’이 아닌 ‘자연(自然)’을 다루는 책이 꽤 나오고, ‘풀꽃나무’가 아닌 ‘식물(植物)’을 짚는 책이 쏟아집니다.


  이쯤에서 생각해 볼 일입니다. 우리는 왜 숲을 숲이라 말하며 다가서지 않을까요? 우리는 왜 풀과 꽃과 나무를 풀꽃나무라고 말하면서 품지 않을까요?


  숲을 ‘숲’이라고 해야, ‘숲’이라는 낱말이 태어나서 오늘에 이르도록 흐른 자취를 읽습니다. 풀과 꽃과 나무를 그저 ‘풀’과 ‘꽃’과 ‘나무’라고 해야, 풀꽃나무가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오늘을 지나서 앞으로 어떤 숨빛인지 스스로 읽을 만합니다.


  숲은 수수하게 품습니다. 숲은 수더분히 풀어냅니다. 숲은 수북수북 베풉니다. 숲은 수다를 벌이듯 가르칩니다. 숲은 술술 솔솔 살살 슬슬 일깨워서 누구나 배우는 길을 엽니다. 자, 숲으로 걸어가요. 맨손과 맨발로 숲에 깃들어요. 숲을 숲으로 안을 줄 알아야, 왜 ‘순이·돌이’ 같은 이름을 수수하게 주고받으면서 두런두런 어울리는지 깨닫습니다. 숲순이에 숲돌이입니다. 풀순이에 풀돌이입니다. 숲빛으로 슬기로운 사람이라서 ‘순이’입니다. 차돌처럼 단단하거나 야무지면서 동글동글 돕는 동무로 두레를 할 줄 알기에 ‘돌이’입니다.


  우리말은 쉽습니다. 숲이기에 수월하고 쉽지요. 어렵다면 우리말이 아니고, 어렵다면 숲이 아닙니다. 이제는 ‘자연’과 ‘식물’이라고 하는 껍데기를 벗기를 바랍니다. 말을 꾸미면 ‘꾸밈말’이고, 글을 치레하면 ‘치레글’입니다. 숲처럼 수수하게 말하고 글쓰기를 바랍니다. 어깨에 힘을 빼요. 가볍게 차려입거나 맨몸으로 바다에 잠기고 나무를 타요. 새랑 사귀려면 ‘먼눈(망원경)’이 아니라 ‘마음눈’을 뜰 노릇입니다. 마음으로 사귀어야 새를 알고 숲을 알고 하늘을 압니다.


ㅅㄴㄹ


내가 사는 동네 가까이에 숲이 있다는 것은 정말 고마운 일이다. (27쪽)


아이들은 나뭇가지를 참 좋아한다. 걷다가 줍고, 걷다가 줍고, 나뭇가지마다 색깔도 무늬도, 길이도 굵기도 결도 다르다. (41쪽)


내 안의 감각을 깨워서, 향기를 맡고, 소리를 듣고, 눈으로 보고 만지면서, 숲을 가만가만 걸으며 자연의 뭇 생명이 건네는 이야기에 빠져들다 보면 산책이라는 게 더는 걷기에 머무르지 않는다. (63쪽)


2018년 초여름 어느 날, 우리 동네 주택 골목길에서 제비들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우연히 발견했다. (92쪽)


2020년 여름, 마음속에만 그리던 작은 책방을 열었다. 자연생태, 환경, 교육 관련된 책들을 주로 선별해 들여놓고 사람들과 함께 읽고 싶은 책, 내가 읽고 싶은 책도 들였다. (159쪽)


+


그렇게 바라봐 주면 좋겠다

→ 그렇게 바라봐 주길 바란다

→ 그렇게 바라보기를 빈다

23


그곳에서 만들어진 이야기가 많이 쌓였다

→ 그곳 이야기가 잔뜩 쌓였다

→ 그곳에서 일군 이야기가 꽤 쌓였다

27


땅 아래로 떨어진 꽃들이 만든 길은 그야말로 꽃길

→ 땅으로 떨어진 꽃이 이루는 그야말로 꽃길

→ 땅으로 떨어진 꽃으로 그야말로 꽃길

28


잣나무가 빽빽하게 심겨 있는 숲길

→ 잣나무를 빽빽하게 심은 숲길

33


서로 협력하며 나무 한 그루를

→ 서로 도우며 나무 한 그루를

→ 서로 힘모아 나무 한 그루를

34


나라는 존재가 숲 일부라고 여기면 주변을 더 깊이 관찰하게 된다

→ 나도 숲이라고 여기면 둘레를 더 들여다본다

→ 나도 숲을 이룬다고 여기면 곁을 더 깊이 본다

35


광대버섯 인편에 작은 돌기가

39


직접 시계 침을 돌리도록 했다

→ 손수 때바늘을 돌리라 했다

47


바람이 조금 차가웠지만 햇살은 따스했다

→ 바람이 조금 차갑지만 햇볕은 따스하다

47


귀여운 각두에 딱 맞는 도토리를

→ 귀여운 깍정이에 맞는 도토리를

→ 귀여운 받침에 딱인 도토리를

48


빛은 똑바로 가는 성질이 있지만

→ 빛은 똑바로 가지만

51


까만 실루엣과 빛의 절묘함으로 작품을 만드는 그림자 회화 거장 후지시로 세이지는

→ 까만 그림자와 빛으로 놀랍게 빚는 그림자 그림지기 후지시로 세이지 님은

53


봄에 시작되는 숲 활동에서 아이들은 개미 관찰하는 것을 좋아한다

→ 봄부터 하는 숲놀이에서 아이들은 개미보기를 즐긴다

→ 봄이면 여는 숲마실에서 아이들은 개미구경을 반긴다

56


나무들은 어느새 제 잎사귀를 키워서 싱그러운 그늘을 만들고 있다

→ 나무는 어느새 잎사귀를 키워서 그늘이 싱그럽다

61


한 참가자가 묻는다

→ 누가 묻는다

→ 어느 분이 묻는다

63


자연은 우리에게 참 많은 이야기를 한다

→ 숲은 우리한테 숱한 이야기를 베푼다

→ 숲은 우리한테 늘 이야기를 들려준다

63


1령, 2령, 3령, 4령, 점점 모양을 갖추는 애벌레는 새똥처럼 생겼다

→ 한살 두살 세살 네살, 차츰 꼴을 갖추는 애벌레는 새똥처럼 생겼다

→ 한벌 두벌 석벌 넉벌, 차츰 꼴을 갖추는 애벌레는 새똥처럼 생겼다

69


자유롭게 그려 보는 맛이 진정 숲의 맛

→ 홀가분히 그려 보는 참다운 숲맛

→ 가볍게 그려 보는 참숲맛

70


무슨 말을 하는 걸까. 통역이라도 해볼 요량으로 적어 보았다

→ 무슨 말을 할까. 옮겨 보려고 적어 본다

→ 무슨 말을 하나. 옮겨서 적어 본다

→ 무슨 말을 하지? 옮겨적는다

79


생명의 소리로 가득

→ 숨소리로 가득

→ 빛나는 소리로 가득

→ 숨결소리로 가득

81


우리 대피소 만들어야겠다

→ 우리 쉼터 지어야겠다

→ 우리 움막 세워야겠다

→ 우리 집 올려야겠다

98


더 경이로운 것은 노랫말. 음유시인 루시드폴은 어쩜 이리도 멋진 노래를 만들었을까

→ 더 놀라운 노랫말. 나그네노래 루시드폴은 어쩜 이리도 노래를 멋지게 지을까

→ 노랫말은 더 놀랍다. 떠돌노래 루시드폴은 어쩜 이리도 멋지게 노래를 쓸까

99쪽


단풍나무 가족이지만

→ 단풍나무 갈래이지만

→ 단풍나무와 가깝지만

110


민트색 지의류가 덮인 나무 밑동에서

→ 옅푸른 땅붙이가 덮은 나무 밑동에서

→ 옅푸른 숲붙이가 덮은 나무 밑동에서

118


햇살의 따스함과 흙냄새를

→ 따스한 해와 흙냄새를

→ 따스한 햇볕과 흙냄새를

121


수십만 보를 걸으며 얻은 노력의 결과라

→ 숱한 걸음걸이로 얻은 땀방울이라

→ 끝없이 걸어서 얻은 열매라

→ 셀 길 없이 걸으며 얻은 보람이라

141


세 그루 이상 연이어 위치한 나무는 군락으로 표시했다

→ 세 그루 넘게 이어 자라는 나무는 무리로 적는다

→ 세 그루 남짓 이어 자라는 나무는 마을로 여긴다

142


책들을 선별해 들여놓고

→ 책을 가려서 들여놓고

→ 책을 뽑아서 들여놓고

159


지금 당신 곁에서 힘이 되어주는 누군가가 있나요

→ 오늘 우리 곁에서 누가 힘을 북돋우는가요

→ 내 곁에서 누가 든든히 도와주는가요

169


책방과 숲이 무대가 되어 나무그림책 읽어 주는 버스킹을 연다

→ 책집과 숲을 마당으로 나무그림책 읽기 거리꽃을 연다

→ 책집과 숲을 놀이터로 나무그림책 읽기 마당꽃을 연다

177


도요물떼새 무리가 함께 일제히 날아갔다가

→ 도요물떼새 무리가 함께 날아갔다가

183


아이 배냇이름(태명)을 나무로 지었다

→ 아이 배냇이름을 나무로 지었다

18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