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화산섬 2024.6.24.달.



쉬지 않는 사람은 몸을 자꾸 달구는 셈이야. 불판이나 부침판을 달구면 뜨겁지? 그런데 불판·부침판을 달구기만 하면 어떨까? 아마 설거지도 못 하고, 어느 곳에 둘 수도 없어. 살림·세간은 쓰고 나면 쉬어 주어야 한단다. 안 쉬면, 달구기만 하면, 그만 닳아. 우뚝 솟아서 ‘갓’이고 ‘봉우리’이고 ‘오름’이고 ‘메·뫼’인데, 땅밑에서 부글부글하면, 그만 멧자락이 몽땅 녹거나 탈 수 있어. 그래서 속으로 끓는 불길을 식히거나 재우려고 꼭대기에 퐁 구멍을 내어 펑 터뜨리듯 내보낸단다. 속으로 끓는 불길을 그냥 두다가는 들숲이 몽땅 이글이글 타고 녹아서 죽거든. 불길이 솟으니 한동안 새빨갛지. 부아가 난 사람도 이글거린단다. 이때에 섣불리 식히면 안 되고, 함부로 막으면 안 돼. 바람과 해가 천천히 달래기까지 기다릴 노릇이야. 빗물과 냇물과 바닷물이 다독여서 씻고 식힐 때까지 지켜봐야지. 불길은 ‘누르’면 더 거세게 끓다가 터져. 고름을 자꾸 만지면 오히려 부풀지. 다친 곳을 자꾸 건드리면 덧나고 붓잖니. ‘불갓섬(화산도)’이 있어. 불길을 활활 태워서 둘레를 벌겋게 덮은 곳인데, 바다는 느긋이 기다리면서 품었단다. 불타오르고 이글이글하던 불갓섬은 한참 시뻘겋게 내뿜다가 속엣것을 다 뱉고서 가라앉았어. 한동안 섬살림은 죄다 죽었는데, 빨간물(핏물)이 굳으면서 까맣게 재나 돌로 바뀌었지. 이윽고 새가 풀씨와 나무씨를 퐁퐁 심었고, 천천히 되살아나면서 사람도 짐승도 ‘옛 불갓섬’을 ‘새 숲섬’으로 가꾸어냈단다. 갑갑하다면 감추거나 가리지 마. 왜 갑갑한지 돌아보면서 응어리를 다 털어내렴. 이러면서 고이 쉬어 봐. 느긋이 천천히 오래오래 잠드는 사이에, 새와 나비와 풀벌레가 찾아와서 살살 어루만져 일깨워 준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