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하고 얽힌 이야기는
나중에 조금 더 살을 붙여서
새로 쓰려고 한다.
짤막하게 쓴 글을 붙여 본다.
..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7.8.
숨은책 940
《들국화 한 송이》
今村秀子 글
오영원 옮김
학문사
1982.6.5.
헌책집을 날마다 몇 곳씩 찾아다니면서 책읽기로 하루를 마무리하며 스스로 배움길을 걸었습니다. 주머니에는 살림돈이 없다시피 했지만, 1992∼99년까지는 ‘하루에 책값 3000∼5000원’을 꼬박꼬박 쓰자고 다짐했고, 2000∼07년까지는 ‘하루에 책값 30000∼50000원’으로 잡았습니다. 이제는 시골에서 살림을 하느라 드문드문 책집마실을 하면서 책을 사읽지만, 얼마 없는 밑천으로 책을 사려면 으레 ‘서서읽기’로 쉰이나 온(100) 자락쯤 읽습니다. 사고 싶으나 못 사는 책은 머리에 새기고 마음에 담아요. 이 책만큼은 두고두고 읽도록 사려고 할 적에도 책집에서 한 벌을 죽 읽고서 샀습니다. 함께 책집마실을 하는 이웃은 갸웃거렸습니다. “아니, 책 살 돈이 적어서 서서읽기를 한다면서, 왜 그 책은 서서 다 읽었는데 굳이 사요?” 하고 물어요. “서서 다 읽으면서 뭉클한 책이라서 집에 가서 또 읽고 나중에 아이가 물려받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꾸준히 되읽으려고요.” 1978년에는 《반달의 노래》를 써내고, 1982년에는 《들국화 한 송이》를 써냈다는 일본 할머니 ‘今村秀子’를 어떻게 읽는지 아직 모릅니다만, 이녁은 일제강점기에 ‘조선 대구에 사는 동무’를 만나러 기꺼이 아버지를 따라서 바다를 건넜고, 일본이란 나라가 무슨 짓을 저지르는지 똑똑히 지켜보면서, ‘일본 우두머리’는 뉘우칠 줄 모르더라도 ‘나는 고개숙이면서 이웃겨레를 한사랑으로 어깨동무하겠다’면서, 곧고 착하게 살림을 짓는 나날을 보내려고 했다더군요. 조그마한 책 두 자락은 ‘한겨레를 함부로 괴롭히는 일본 이웃한테 한겨레는 아름다운 사람들’이라고 알리려고 쓴 꾸러미입니다. 뉘우칠 줄 모르는 사납빼기를 다그친들 사납빼기는 안 바뀐다고 느껴요. 사랑을 바라보려는 마음인 이웃이 온누리를 바꾸는 빛을 씨앗으로 심습니다.
《반달의 노래》(今村秀子/오영원 옮김, 삼화인쇄출판부, 1978.7.3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