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54


《探求新書 110 沈默의 봄》

 레이첼 카아슨 글

 이길상 옮김

 탐구당

 1976.12.30.



  오늘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서울(도시)에서 살며 봄내음·봄노래·봄빛하고 등집니다. 겨울내음·겨울노래·겨울빛하고도 등돌려요. 이 흐름을 걱정하는 몸짓은 드물다고 느낍니다. 쇳덩이(자동차)는 줄지 않고, 서울은 몸집을 안 줄입니다. 봄노래나 겨울노래를 못 듣더라도 시끌소리를 채우면서 어수선합니다. 봄빛이나 겨울빛을 모르더라도, 삽차하고 잿빛(시멘트)에 뒤덮이더라도, 알록달록 덧씌우거나 꾸미면 그만이라고 여깁니다. 《침묵의 봄》 한글판은 1976년에 처음 나옵니다. 이무렵에는 거의 안 읽혔지 싶습니다만, 탐구당 손바닥책을 즐겨읽던 분은 ‘새마을운동 + 경제개발5개년 + 공업화정책’으로 어지럽던 한복판에도 ‘돈을 벌려고 일으키는 공해’는 오히려 우리한테서 돈부터 빼앗으면서 다 죽이겠구나 하고 알아보았을 수 있습니다. 철마다 철빛이 다르듯, 새와 풀벌레와 개구리가 베푸는 노래가 노상 다릅니다. 모든 하루가 다르듯, 풀꽃나무와 해바람비와 들숲바다는 늘 넘실넘실 피어납니다. 매캐한 곳에 바람갈이(공기청정기)를 둔들 덧없습니다. 물이 더러우니까 거르개(정수기)나 먹는샘물(페트병 생수)로 가릴 수 있을까요? 서울에서도 냇물을 손으로 떠서 마실 수 있도록 바꾸는 일부터 해야 할 텐데요. 그나저나 “沈默의 봄”은 일본사람이 옮긴 “沈默の春”을 슬쩍 따온 줄 아는 분도 드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