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봄 눈빛사진가선 69
김은주 지음 / 눈빛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30.

사진책시렁 150


《다시, 봄》

 김은주

 눈빛

 2021.5.13.



  목소리만 낼 적에는 글이나 그림이나 빛꽃이라고 하지 않지요. 그저 ‘목소리’라고 합니다. 알록달록 꾸밀 적에는 빛꽃이나 그림이나 글이라 하지 않아요. 그냥 ‘알록달록’이나 ‘꾸밈’이라 합니다. 《다시, 봄》은 제주에서 벌어진 죽임질 뒤끝에 살아남은 사람들이 오늘 어디에 섰는가를 되새기려는 모습을 차곡차곡 담은 듯싶습니다. 할매하고 할배를 줄줄이 세워서 찍을 수 있고, 저마다 꽃차림으로 ‘어느 곳’에 서서 지난날을 돌아보는 모습을 남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왜 언제까지 ‘줄세우기’에 그쳐야 하는지 곱씹을 노릇입니다. 4월은 한봄이요, 한창 일철입니다. 바야흐로 꽃을 보고 새싹을 보며 잎눈을 보는 철입니다. 함께 땀흘려 논밭을 가꾸고 바다를 보살피는 철입니다. 그렇지만 이 나라는 사람들을 헤아리거나 살핀 적이 없어요. 조선이나 고려 무렵에도, 일본이 총칼로 밀어닥친 동안에도, 일본이 물러간 뒤에도, 우리끼리 나라지기를 뽑을 수 있던 때에도,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나라는 언제나 뒷전이요 팔짱입니다. 아무래도 먼발치에서 지켜볼밖에 없는 찰칵 한 자락일 수 있습니다만, 더 다가서서 손바닥과 발바닥을 들여다볼 일이라고 봅니다. 숟가락과 고무신을 쓰다듬을 일이지 싶습니다. 너무 멀리서 찍는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