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8.


《조화로운 삶》

 헬렌 니어링·스콧 니어링 글/류시화 옮김, 보리, 2000.4.15.



책숲종이(도서관 소식지)가 나왔다. 두 아이랑 즐겁게 글자루에 넣고, 등짐에 담고서 읍내로 시골버스를 타고서 나간다. 나래터에서 다 부치고서 저잣마실을 한다. 시골버스에서는 노래꽃을 쓰고, 길을 걸을 적에는 책을 읽는다. 그런데 아침나절에 깜고양이 한 마리가 우리 집 한켠에 뻗었다. 카악거리기는 하지만 머리만 겨우 움직일 뿐 쓰러진 채 꼼짝을 못 한다. 지난밤에 비를 쫄딱 맞은 듯하지만 물을 닦아 줄 수 없다. 큼직한 천으로 살짝 덮는데 자꾸 카악거린다. 그러나 크고 두툼한 천으로 덮으니 몸을 떨지 않는다. 천을 하나 더 덮으니 살짝 카악하다가 고개를 내리고 가만히 눕는다. 이윽고 꿈나라로 가더니 가볍게 웃는데, 끝내 몸을 일으키지 못 하고서 혀를 조금 빼문다. 네 다리는 벌써 굳고 가늘게 숨을 고른다. 부디 밤새 고이 잠들어 새곳으로 가기를 빈다. 우리 집 기스락으로 조용히 들어와서 몸을 내려놓는 숲짐승이나 마을고양이가 꽤 많다. 《조화로운 삶》을 오랜만에 되읽었다. 2000년에 처음 읽을 무렵에도 아쉬웠고, 시골살이를 하는 하루로 되새기면서도 쓸쓸하다. “Living the Good Life”는 “즐겁게 살기”쯤일 텐데, 두 글바치는 “어울리는 삶”이 아닌, “돈 잘 버는 길”이었지 싶다. 미국에서는 쇳덩이(자동차) 없으면 못 산다고 하지만, 미국에서야말로 쇳덩이 없이 살림을 꾸리고 나서 글을 쓸 적에 비로소 ‘어울림소리’를 낼 만하지 않을까?


#Living the Good Life (1954년)

#HelenNearing #ScottNearing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