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수렴 收斂


 수렴이 심하여 민심이 동요되옵고 → 끔찍히 걷어서 사람들이 싫어하고

 여론 수렴 → 뭇뜻 모으기 / 목소리 듣기

 의견 수렴에 들어가다 → 뜻을 추리려 하다 / 생각을 들으려 하다

 다른 의견들이 하나로 수렴되다 → 다른 길을 하나로 모으다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 여러 뜻을 뭉쳐 / 여러 뜻을 받아 / 여러 뜻을 갈무리해


  ‘수렴(收斂)’은 “1.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두어들임 2. 의견이나 사상 따위가 여럿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하나로 모아 정리함 3. 방탕한 사람이 몸과 마음을 단속함 4. 오그라들게 함 5. 조세 따위를 거두어들임 6. [물리] 광선, 유체, 전류 따위가 한 점에 모이는 일 ≒ 수속(收束) 7. [생물] 동식물의 계통이 다른 군(群)이 같은 환경에 적응한 결과, 닮은 형질을 나타내며 진화하는 일. 오스트레일리아에 사는 유대류(有袋類)의 여러 종류는 다른 대륙의 포유류와 비슷하다 8. [수학] 수열에서, 어떤 일정한 수의 임의의 근방에 유한 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항이 모여 있는 현상 9. [수학] 함수 f(x)가 있을 때, 어떤 일정한 수의 임의의 근방에 a의 근방에 있는 모든 x의 함숫값이 모여 있는 현상”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낱말책에는 여덟 가지 뜻풀이가 나오지만 막상 이처럼 널리 쓰는 낱말은 아니지 싶고, 얼마든지 손볼 만합니다. ‘걷다·거두어들이다·거두다·갈무리’나 ‘모으다·모이다·모둠길·그러모으다’로 손볼 만하고 ‘뭉치다·받다·버무리다·섞다’라든지 ‘나누다·노느다·도리다’로 손볼 수 있어요. ‘가다·가깝다·긷다·되다’나 ‘닿다·담다·맞닿다·잇닿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추스르다·추리다·추렴살피다’나 ‘같이내다·함께내다’로 손보고, ‘듣다·오냐·네·끄덕이다’나 ‘하나되다·한곳보기·외길보기’로도 손봅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수렴’을 넷 더 싣는데, 다 털어내어도 됩니다. ㅅㄴㄹ



수렴(水廉) : [민속] 무덤 안에 물이 괴어 송장이 해를 입음

수렴(水簾) : 물의 발이라는 뜻으로, ‘폭포(瀑布)’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수렴(垂簾) : 1. 발을 드리움. 또는 그 발 2. [역사] = 수렴청정

수렴(繡簾) : 무늬를 놓아 드리운 발



삶이라는 외길을 나타내기 위하여 작가는 세상의 온갖 것을 다 수렴해야 합니다

→ 삶이라는 외길을 나타내고자 글쓴이는 온누리 온갖 것을 모아야 합니다

→ 삶이라는 외길을 나타내고자 글쓴이는 온누리 온갖 것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 삶이라는 외길을 나타내려고 글쓴이는 온누리 온갖 것을 거두어야 합니다

《문학을 지망하는 젊은이들에게》(박경리, 현대문학, 1995) 303쪽


2부작 장편으로 도저하게 수렴되고 있는 까닭이다

→ 두 자락으로 길게 그러모으는 까닭이다

→ 두 걸음으로 길게 갈무리하는 까닭이다

《이상문학상 21년》(김승옥, 문학사상사, 1997) 297쪽


최근에는 동네도서관으로 명칭이 수렴되었는데

→ 요즘은 마을책숲으로 이름을 모으는데

→ 요새는 마을책터라는 이름을 쓰기로 하는데

→ 요새는 마을책밭으로 삼기로 하는데

《동네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이소이 요시미쓰/홍성민 옮김, 펄북스, 2015) 53쪽


대량의 정보를 수렴할 수 있지만

→ 이야기를 잔뜩 모을 수 있지만

→ 살림을 잔뜩 받을 수 있지만

→ 줄거리를 잔뜩 거둘 수 있지만

→ 속내를 잔뜩 갈무리할 수 있지만

《블랙 벨벳》(온다 리쿠/박정임 옮김, 너머, 2018) 49쪽


수렴적 집중이란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한마음으로 초점을 좁혀서 집중하는 것이다

→ 온모으기란 오직 하나에만 마음을 좁혀서 모으기이다

→ 온갈무리란 오직 하나에만 마음을 좁혀서 모으기이다

《당신도 초자연적이 될 수 있다》(조 디스펜자/추미란 옮김, 샨티, 2019) 160쪽


사회의 모든 구조는 책으로 수렴되고, 수렴된 모든 결과는 결국 삶으로 연결된다

→ 온누리 모든 길은 책으로 가고, 이 모두는 다시 삶으로 온다

→ 둘레 모든 바탕은 책으로 담고, 이 모두를 늘 삶으로 잇는다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성갑, 스토어하우스, 2020) 265쪽


0에 수렴되던 자전거에 대한 흥미가 다시 올라오기 시작했다

→ 0에 가깝던 두바퀴인데 다시 마음이 갔다

→ 두바퀴에 아무 마음이 없다가 새로 생겼다

→ 두바퀴는 안 쳐다보았는데 문득 눈이 갔다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 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