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 - 정지된 일상을 깨우고, 앞으로 나아가는 법 자기만의 방
강민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6.6.

다듬읽기 193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

 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1.25.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처럼 두바퀴를 다루는 글이 뜻밖에 드뭅니다. 글일을 하거나 글길을 가는 분 가운데 걷거나 두바퀴를 누리는 사람이 드문 탓이고, 걷거나 두바퀴를 즐기면 굳이 글을 안 즐기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두바퀴는 멋이 아닌 삶입니다. 두다리는 겉치레가 아닌 살림입니다. 이 책을 쓴 분은 글손질을 꼼꼼히 한다고 밝히지만, 막상 말결이나 글결을 살피지는 않는 듯싶습니다. 두바퀴를 더 비싸게 장만해서 더 빨리 내달려야 멋있지 않다면, 우리말결을 수수하게 헤아리면서 토닥토닥 다듬을 수 있기를 바라요. 저잣마실을 다녀오고, 아이를 짐받이에 태우는 두바퀴라면, 어린이 곁에서 봄바람처럼 살랑이는 글빛으로 넉넉히 추스를 만합니다. 느긋이 천천히 달릴 줄 알아야 억새도 보고 새소리도 듣습니다. 넉넉히 찬찬히 글자락을 가다듬을 적에 마음밭도 새롭게 빛납니다.


ㅅㄴㄹ


내게 자전거라는 단어의 반짝임이 찾아왔다

→ 두바퀴는 반짝이는 낱말로 찾아왔다

→ 두바퀴는 반짝이는 말씨로 찾아왔다

7


당연히 타고 있죠

→ 늘 타죠

→ 꼭 타죠

13


나에게 자전거의 존재는 늘 당연했다

→ 두바퀴는 늘 나한테 있었다

→ 두바퀴는 마땅히 나하고 있었다

13


0에 수렴되던 자전거에 대한 흥미가 다시 올라오기 시작했다

→ 0에 가깝던 두바퀴인데 다시 마음이 갔다

→ 두바퀴에 아무 마음이 없다가 새로 생겼다

→ 두바퀴는 안 쳐다보았는데 문득 눈이 갔다

14


애정하는 대상과의 소원함과 헤어짐은 언제고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좋아하더라도 언제고 멀어지거나 헤어질 수 있는 일이다

→ 귀엽더라도 언제고 데면데면하거나 헤어질 수 있는 일이다

15


마지막 장의 마침표를 찍으며 결국

→ 마지막 자락 마침꽃을 찍으며 끝내

→ 마지막 쪽 마침꽃을 찍으면서

16


이따금씩 처음 자전거를 탄 순간을 떠올린다

→ 이따금 처음 두바퀴를 탄 날을 떠올린다

19


아침저녁으로 건강해지고 있어요

→ 아침저녁으로 튼튼해요

→ 아침저녁으로 기운이 나요

25


만만한 게 출퇴근길이란 생각이 들었다

→ 일터를 다니는 길이 만만하지 싶었다

→ 일터를 오가는 길이 만만할 듯싶었다

26


지도 앱의 초록색 선이 나에게 분명하고도 확실히 말하고 있었다

→ 길그림꽃 푸른금이 나한테 또렷하게 말한다

→ 길그림 풀그림 푸른줄이 나한테 똑똑히 말한다

26쪽


수개월 동안 수도권의 수많은 자전거길을 쏘다니며

→ 여러 달을 서울곁 숱한 두바퀴길을 쏘다니며

→ 몇 달을 서울 둘레 여러 두바퀴길을 쏘다니며

29


구름을 타고 노니는 유니콘이 되어

→ 구름을 타고 노니는 외뿔말이 되어

→ 구름을 타고 노니는 흰뿔말이 되어

30


아이쇼핑으로 구매했다

→ 눈구경으로 샀다

→ 눈으로 장만했다

→ 들여다보고 사들였다

35


한 번도 가 보지 않은 자전거길들을 유려히 달리기 시작했다

→ 아직 가 보지 않은 두바퀴길을 멋지게 달린다

→ 여태 가 보지 않은 두바퀴길을 꽃처럼 달린다

→ 이제껏 가 보지 않은 두바퀴길을 곱게 달린다

39


싸이클을 탄다는 건 진입 장벽이 낮은 취미는 아니다

→ 씽씽이 타기는 울타리가 낮지 앉다

→ 쌩쌩이는 넘보기 쉽지 않다

51쪽


자전거 전용도로 위에서도 물론 안전사고는 일어난다

→ 두바퀴길에서도 다칠 수 있다

→ 달림길에서도 부딪칠 수 있다

71


기본이 되어야 하는 게 바로 이 엔진이다

→ 바로 고동이 밑동이다

→ 바로 숨통이 밑바탕이다

76


최악이라 해봤자 안장에서 내려와

→ 나쁘다고 해봤자 자리에서 내려

→ 고약해 봤자 앉개에서 내려

77


도로 위에서의 주행에 큰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

→ 길에서 달릴 적에 크게 다르지만

→ 길에서 달리면 크게 다르지만

78


그간 모종의 합의라도 본 걸까

→ 그동안 뜻이라도 맞췄을까

→ 여태 뜻이라도 모았을까

88


억새를 시작으로 이번엔 강변을 지날 때면 자주 보이는 새들이 눈에 들어왔다

→ 이제 냇가를 지날 때면 억새에 새가 보인다

→ 이제는 냇가를 지날 때면 억새랑 새를 본다

95


아직 여름의 따스함이 도로에 내려오지 않아

→ 아직 더운 여름이 아니라

→ 아직 날이 따스하지 않아

118


글을 쓰는 지금의 나를 만든 건, 8할이 블로그였다

→ 나는 누리집 때문에 글을 쓴다

→ 누리집이 있기에 오늘처럼 글을 쓴다

125


문제를 정면에서 해결하는 건 때론 문제를 피할 때보다 더 많은 갈등과 감정 소비를 가져오기도 한다

→ 일을 비끼지 않고 코앞에서 풀려면 더 다투고 마음을 써야 한다

→ 골치를 등지지 않고 바로 풀자면 더 뒤엉키고 마음을 들여야 한다

147


이유는 대부분 하나로 압축할 수 있다

→ 까닭은 거의 하나이다

→ 으레 하나 때문이다

155


여전히 나의 베스트는 흙바람을 맞고 변화무쌍한 날씨를 즐기며 자전거를 타는 것이다

→ 나는 아직도 춤추는 날씨에 흙바람을 맞으며 두바퀴를 달리면 가장 즐겁다

→ 나는 널뛰는 날씨에 흙바람을 맞으며 두바퀴를 달리면 무척 즐겁다

184


나는 퇴고를 비교적 꼼꼼하게 하는 편이다

→ 나는 꽤 꼼꼼하게 손질을 한다

→ 나는 퍽 꼼꼼하게 가다듬는다

→ 나는 좀 꼼꼼하게 고쳐쓴다

188


+


덧.

책겉이나 여러 곳에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그림으로 담는데,

팔과 손과 등과 허리와 다리...

어쩐지 엉성하다.

그림결을 귀엽게 꾸미느라

막상 "자전거를 타는 매무새와 몸짓"은

눈여겨보지 않았구나 싶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