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 어린이 교양 매듭 3
오늘 지음, 김연정 그림, 사자양 기획 / 다른매듭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6.2.

다듬읽기 217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

 오늘 글

 김연정 그림

 사자양 기획

 다른매듭

 2023.5.15.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오늘·김연정·사자양, 다른매듭, 2023)을 읽으며 ‘인권’이라는 일본 한자말이 오늘 우리 어린이한테 얼마나 와닿을는지 생각해 봅니다. ‘인권 = 사람 + 권리’일 텐데, ‘권리’는 또 무엇일까요?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릴 뿐 아니라, 앞으로 태어날 모든 어린이가 수월히 익혀서 어질면서 사랑스레 펼 말글을 가다듬어서 가르치려 하지 않는다면, 이 대목에서도 “어린이 인권을 못 보는 셈”일 텐데 싶습니다. 모든 빛·몫·숨결·사랑은 ‘숲빛을 담은 쉬운말’에서 비롯합니다. 쉬운말이 바로 사랑이면서 ‘평화·평등·인권’입니다. 어린이가 놀거나 쉴 틈을 누리려면, ‘자동차 걱정’이 없이 ‘맨발로 뒹굴고 뛰놀며 나무를 타고 놀 들숲과 빈터’부터 있을 노릇입니다. 일제강점기에 ‘한글’이란 이름을 짓고서, 처음으로 모든 순이돌이가 우리말글을 배우면서 살림빛을 스스로 넓히도록 북돋운 주시경 님은, 집에서도 딸아들이 밥자리에 나란히 앉아서 얘기꽃을 피우면서 즐겁도록 했다지요. 인권과 평화와 평등은 늘 ‘말씨 한 톨’부터인 줄 다시 들여다볼 수 있기를 바라요.


ㅅㄴㄹ


어렵게 느껴진다면

→ 어렵게 느낀다면

→ 어렵다면

7쪽


모든 사람이 소중하게 대우받지 못했고, 모두가 인간의 권리를 동등하게 누리지 못했던 거예요

→ 모든 사람을 곱게 여기지 않았고, 모두가 고르며 사람답게 누리지 못 했어요

→ 모든 사람을 사랑으로 살피지 않았고, 모두가 사람답게 살지 못 했어요

22


옛날에는 태어날 때부터 신분이 정해져 있었어요

→ 옛날에는 태어날 때부터 위아래가 있었어요

→ 옛날에는 태어날 때부터 높낮이를 매겼어요

22


많은 사람의 노력으로 우리는 존엄한 인간의 권리를 누리고 있어요

→ 숱한 사람이 애썼기에 누구나 사람빛을 누려요

→ 숱한 사람이 힘썼기에 누구나 사람꽃을 누려요

25


다른 민족이라는 이유로, 힘없는 나라의 국민이라는 이유로

→ 다른 겨레라며, 힘없는 나라에서 산다며

29


어린이의 인권을 위해 노력한 어린이들을 알아볼까요

→ 어린이 빛살을 헤아리며 애쓴 어린이를 알아볼까요

→ 어린이 사람길을 지키려 힘쓴 어린이를 알아볼까요

34


발달의 권리가 있어요

→ 뻗어갈 몫이 있어요

→ 자라날 몫이 있어요

40


어린이의 관심도 꼭 필요해요

→ 어린이도 눈여겨봐야 해요

→ 어린이도 함께 봐야 해요

→ 어린이도 같이 살펴야 해요

41


충분한 휴식과 놀이를 즐기도록 교육 제도를 고치라고 정부에 요구했답니다

→ 넉넉히 쉬고 놀도록 배움틀을 고치라고 나라에 바랐답니다

→ 느긋이 쉬고 놀도록 배움길을 고치라고 나라에 외쳤답니다

51


차별은 조금 나아진다고 만족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아예 없어져야 해요

→ 조금 덜 괴롭힌다고 나을 수 있지 않고, 아예 안 괴롭혀야 해요

→ 조금 따돌린다고 즐거울 수 없고, 아예 안 따돌려야 해요

59


어린이도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요

→ 어린이도 스스로 길을 잡을 수 있어요

→ 어린이도 앞길을 스스로 열 수 있어요

71


아직 어리고 성숙하지 않다는 이유로

→ 아직 어리다고 해서

→ 아직 어리거나 모른다면서

71


머리 모양에 대한 의견을 무시당하고 가만히 있었을까요

→ 바라는 머릿결을 깔보는데 가만히 있었을까요

→ 머릿결을 바꾸라고 깔아뭉개는데 가만히 있었을까요

8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