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깃털 - 가장 경이로운 자연의 걸작
소어 핸슨 지음, 하윤숙 옮김 / 에이도스 / 2013년 7월
평점 :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5.29.
다듬읽기 216
《깃털, 가장 경이로운 자연의 걸작》
소어 핸슨
하윤숙 옮김
에이도스
2013.7.24.
《깃털, 가장 경이로운 자연의 걸작》(소어 핸슨/하윤숙 옮김, 에이도스, 2013)을 읽으면서 여러모로 아쉬웠습니다. “The Evolution Of A Natural Miracle”을 어떻게 옮길 적에 우리말하고 걸맞을는지 더 곱씹을 노릇이기도 하고, ‘사람이 요모조모 뜯듯이 읽는 깃털’을 넘어서 ‘새로서 바람과 하늘하고 하나로 피어나는 빛’이라는 눈으로 본다면, 얼거리가 사뭇 달랐으리라고 느낍니다. 숲은 ‘읽을거리(분석·연구 대상)’가 아닙니다. 숲은 숲입니다. 사람은 사람이요, 새는 새입니다. 새를 마주할 적에는 ‘나도 너랑 같은 숨빛이야’ 같은 마음이면서, ‘내가 너와 같은 새가 되어 같이 놀자’는 마음일 적에 비로소 깃털이 왜 깃털인지 차근차근 풀어낼 만하겠지요. ‘자(과학지식)’를 섣불리 대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웃한테 자부터 들이대면 아무도 안 반기겠지요. 길이를 재고 무게를 따지고 겉모습만 살핀다면, 어떤 새도 사람한테 ‘날갯짓’이라는 사랑어린 춤사위를 하나도 안 보여주게 마련입니다.
ㅅㄴ
#Feathers #TheEvolutionOfANaturalMiracle
#ThorHanson
이 모든 게 대머리수리 때문이었습니다
→ 이 모두 대머리수리 때문입니다
6
글 주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다
→ 글감 때문에 어렵지 않다
7
야외 나들이를 하는 것이 무척이나 곤혹스러운 사람들도 있다
→ 나들이를 하면 무척이나
→ 바깥으로 가면 무척이나
7
도로 위 아무것도 막힌 게 없는 창공으로 올라갔다
→ 길에서 아무것도 막히지 않은 하늘로 올라갔다
9
녹슨 빛과 숯 색깔이 묘하게 감도는 울새의 깃털은 자신이 암컷임을 알려 주었고
→ 누런데다 숯빛이 가만히 감도는 울새 깃털을 보니 암컷이고
→ 누러면서 숯빛이 부드러이 감도는 울새 깃털이니 암컷이고
12
하늘에 가까이 가는 것으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하늘에 가까이 가기에 떠받들었다
→ 하늘에 가까이 가니 높이 여겼다
18
새는 날아디니는 특성이 있지만
→ 새는 날아다니지만
→ 새는 날아다녀서 다르지만
27
점차 합의된 견해로 자리잡게 되었다
→ 어느덧 나란히 자리잡는다
→ 차츰 한뜻으로 바라본다
39
그토록 혹독한 추위에 야외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는 매우 인상적인 느낌을 불러일으키는데
→ 추위가 매서워도 들에서 살아가는 숨결은 매우 놀라운데
→ 모진 추위에도 밖에서 살아가는 숨붙이는 대단한데
123
하루 동안에도 그런 극단적인 기온차를 맞기도 한다
→ 하루 동안 이렇게 오르락내리락한다
→ 아침저녁으로 이렇게 널뛴다
138
유난히 힘들었던 라운드를 마친
→ 유난히 힘든 판을 마친
→ 유난히 힘든 마당을 마친
→ 유난히 힘든 자리를 마친
139
비행 능력이 어떻게 진화되었는지, 그 과정에서 깃털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 날갯짓이 어떻게 거듭났는지, 이동안 깃털이 어떤 몫이었는지 살펴본다
→ 날갯짓이 어떻게 나아갔는지, 이동안 깃털이 어떤 노릇이었는지 살펴본다
155
새의 비행을 다시 살피는 배경에는
→ 나는 새를 다시 살피는 까닭에는
→ 새 날갯짓을 왜 다시 살피냐면
199
머리 주위로 까만색의 완벽한 원을 만드는 모습을 보았을지도
→ 머리 둘레로 까맣게 동그라미를 그리는 모습을 보았을지도
211
특정 새 집단 하나가 깃털 사냥꾼들의 손에 거의 전멸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 어느 새떼가 깃털 사냥꾼 손에 거의 사라질 뻔하기도 했다
→ 몇몇 새떼가 깃털 사냥꾼 때문에 몽땅 죽을 뻔하기도 했다
246
새의 색상이 화려하든 칙칙하든
→ 새가 눈부시든 칙칙하든
→ 새가 알록달록하든 칙칙하든
274
최근 이웃 여우 때문에 내가 보유한 깃털의 양이 급격히 늘었다
→ 요새 이웃 여우 때문에 깃털을 잔뜩 얻었다
300
기사도 정신은 이제 유행이 지나갔다고들 하지만
→ 꽃손길은 이제 한물이 갔다고들 하지만
→ 도움꽃은 이제 지나간 바람이라고들 하지만
319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