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진 아이 스퀴텐 & 페테르스 어둠의 도시들 1
프랑수아 스퀴텐.보누아 페테르스 지음, 양영란 옮김 / 세미콜론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5.27.

만화책시렁 651


《기울어진 아이》

 프랑수아 스퀴텐 글

 브누아 페테즈 그림

 정장진 옮김

 교보문고

 2000.12.22.



  2000년에 한글판이 나온 《기울어진 아이》는 오래지 않아 판이 끊겼고, 2010년에 새판이 나오지만 또 판이 끊깁니다. 2000년 12월을 떠올리며 오랜만에 다시 들추는데, 새삼스레 놀랍니다. 첫째, ‘가난뱅이’를 ‘이웃’으로 여기지 못 하는 마음인 아이는 여러 일을 겪는 내내 ‘둘레에 누가 있’는지 하나도 안 깨닫습니다. 둘째, 가난뱅이가 아닌 이들은 정치·문화·사회·과학을 거머쥐면서 ‘붕 뜬 말’로 살아갑니다. 셋째, 옮긴이는 ‘만화를 매우 깔봅’니다. 넷째, 옮긴이는 ‘이 나라에서 만화 읽는 사람을 아주 깔봅’니다. 2010년판에는 2000년판 ‘옮긴이 말’이 빠진 듯싶으나, 딱히 뉘우치는 빛은 없지 싶습니다. “‘대학교수’는 ‘저급한 문화 장르인 만화책을 옮기는 일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기는 분은 “‘고급스런 프랑스 만화’를 ‘우리나라 사람들이 알아먹지 못 하리’라고 여기”더군요. 읽어 보지도 않은 ‘만화’를 그저 깎아내리는 마음에다가, ‘고급 프랑스 만화’를 ‘저급 한국 만화독자’가 읽어낼 수 없으리라는 마음이 섞이니, 《기울어진 아이》뿐 아니라 ‘어둠의 도시들’ 꾸러미가 잘 읽히기도 어려울 만합니다. 더 뛰어난 아이나 사람이 없고, 더 낮은 아이나 사람이 없습니다.


ㅅㄴㄹ


“아빠, 저 사람들 좀 봐요. 끔찍해요.” “왜 저런 사람들이 길거리를 활보하도록 내버려두는지 모르겠구나.” (10쪽)


“너는 이런 데 올 수가 없어. 여긴 가난뱅이들을 위한 급식소란 말이야. 서커스 하는 데가 아니야. 어서 꺼져!” (58쪽)


“내 몸이 기울어졌을 때 난 그것이 얼마나 큰 행운이었는지 미처 몰랐어요. 단지 나만 외톨이가 되었다고 생각했었으니까요. 하지만 이젠 그 덕분에 무엇을 얻게 되었는지 알아요.” “마리, 이곳을 벗어나 다른 데 가면 몸이 기운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의미를 지닌 수수께끼예요.” “수수께끼라고요? 선생님은 어딜 가나 모든 것을 수수께끼로만 보고 있어요. 삶을 살 생각을 한 번도 하질 않는단 말이에요!” “살아 볼 생각을 안 한다고? 내가 고안해 낸 우주대로, 그리고 사막함정도 아무것도 아니란 말인가?” (140쪽)


+


처음 번역을 의뢰받았을 때 역자는 많이 망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역자의 사회적 신분과 저급한 문화 장르인 만화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선입견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검토해 보겠다고 일단 책을 받아들고 전체를 한 번 읽어 본 후, 역자는 다시 한 번 망설여야만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반대되는 이유 때문이었다. 프랑스 만화를 과연 한국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기 때문이다. (156쪽/역자의 말)


#DasschrageMadchen #FrancoisSchuiten #BenoitPeeters

#어둠의도시들 #브누아페테르스 - 세미콜론 2010.5.18.


《기울어진 아이》(프랑수아 스퀴텐·브누아 페테즈/정장진 옮김, 교보문고, 2000)


내 몸이 기울어졌을 때 난 그것이 얼마나 큰 행운이었는지 미처 몰랐어요

→ 내 몸이 기울었을 때 얼마나 큰빛인지 미처 몰랐어요

→ 내 몸이 기울었을 때 얼마나 고마운지 미처 몰랐어요

140쪽


하지만 이젠 그 덕분에 무엇을 얻게 되었는지 알아요

→ 그렇지만 이젠 그 탓에 무엇을 얻었는지 알아요

→ 그런데 이젠 그 때문에 무엇을 얻었는지 알아요

140쪽


다른 데 가면 몸이 기운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의미를 지닌 수수께끼예요

→ 다른 데 가면 몸이 기운다면 똑똑히 밝혀야 할 뜻깊은 수수께끼예요

150쪽


당신도 다른 사람들도 똑같아! 그냥 중년 남자일 뿐이야!

→ 너도 다른 사람도 똑같이! 그냥 아저씨일 뿐이야!

→ 그쪽도 다른 사람도 똑같이! 그냥 겉늙었을 뿐이야!

14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