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중심적


 중심적 가치 → 가운뜻 / 큰빛 /바탕값 / 밑값

 중심적 과제 → 큰일 / 기둥 / 고갱이 / 밑동

 중심적 위치 → 한복판 / 가운데 / 복판

 중심적 인물 → 꼭두 / 큰사람 / 고갱이 / 들보

 중심적 존재 → 으뜸 / 이끌다 / 바탕 / 별

 중심적 역할 → 크다 / 한가운데 / 벼리 / 대들보

 중심적인 사상 → 앞넋 / 앞빛 / 줄기 / 줄거리

 중심적인 문제 → 큰일 / 밑일 / 바탕일

 중심적인 부분 → 알짜 / 알맹이 / 크다 / 뿌리


  ‘중심적(中心的)’은 “사물이나 행동에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고갱이·기둥·벼리·들보·대들보’나 ‘꽃·대·줄거리·줄기·뼈대·뼈·살·허리’로 손질합니다. ‘알·알맹이·알짜·알짬’이나 ‘앞·앞장·앞서다·앞세우다·앞장서다’로 손질하고, ‘대단하다·바탕·별·서울’이나 ‘꼭두·우두머리·으뜸·이끌다’로 손질하지요. ‘-만·내세우다·돌아가다·돌다’로 손질할 만하고, ‘가운데·복판·한복판·한가운데·한몫·사이’나 ‘커다랗다·크다·밑·밑동·뿌리·바탕’으로도 손질해도 어울려요. ‘큰물·큰마당·큰바닥·큰판·큰몫’이나 ‘판·마당·바닥·자리·물결·너울·바다’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지요

→ 고갱이 구실을 맡았지요

→ 기둥 노릇을 맡았지요

→ 큰일을 했지요

→ 한몫 단단히 했지요

《희망의 근거》(김근태, 당대, 1995) 288쪽


자료집을 내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 글묶음을 내도록 앞장섰다

→ 꾸러미를 내는 밑거름이 되었다

→ 글발을 내도록 힘을 많이 썼다

《오끼나와 이야기》(아라사끼 모리테루/김경자 옮김, 역사비평사, 1998) 130쪽


정치권력은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감투는 가장 컸다

→ 벼슬은 기둥 노릇이었다

→ 힘이 바탕이었다

《쓴맛이 사는 맛》(채현국·정운현, 비아북, 2015) 133쪽


지금보다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요새보다 더 고갱이를 차지하였다

→ 요즘보다 더 큰몫을 차지하였다

→ 오늘날보다 더 기둥이었다

→ 오늘보다 더 알짬이었다

《서평의 언어》(메리케이 윌머스/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 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