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0.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

 조국 글, 책세상, 2001.8.30.



해가 가만히 나온다. 구름이 옅게 끼지만 환하다. 두바퀴를 달려서 뽑기를 한다. 뽑을 사람이 없기에 뽑기종이에 “뽑을 사람 없음. 누가 맡더라도 똑바로 일하기 바람.”이라 적으려고 했는데, 그만 붓을 집에 놓고 왔다. 뭐, 어쩔 길이 없구나. 뽑기종이에 꽃을 찍어 놓는다. 어느 누구도 안 찍는, 부디 누구라도 ‘일꾼’ 노릇을 하기를 빌며, 온누리 모든 사람을 ‘꽃’으로 바라보기를 바라는 뜻을 그린다. 집으로 돌아가는 들길을 살피니 흰민들레가 꽤 퍼졌다. 열 해 앞서까지만 해도 마을 할매가 죄다 파서 읍내에 내다팔았지만, 지난 열 해 사이에 천천히 씨앗을 날려서 조금조금 자리잡는다. 이제 시골에서 흰민들레를 캐서 읍내 저잣마당에 내다파는 할매는 사라졌다.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를 읽어 보았다. ‘양심’이란 뭘까? ‘사상’이란 뭔가? ‘자유’는 뭐지? 누구나 “말할 틈”을 누려야 하는데, 몇몇만 너무 오래 떠드는 듯싶다. ‘왼길·오른길’ 가운데 어느 길이든 나쁠 까닭이 없다. ‘가운길·새길’이나 ‘푸른길·시골길’이 있고, ‘숲길·어버이길’이 있으며 ‘아이와 어깨동무하는 어른길’이 있다. ‘양심·사상·자유’ 같은 ‘일본 한자말’을 붙잡는 분들은 외려 아이(미래)를 등지면서 안 착한 듯싶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